콘텐츠목차

상장안 분청사기 가마 유적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283
한자 上長安粉靑沙器-遺蹟
영어의미역 Grayish-blue-powdered Celadon kiln site in Sangjanga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홍보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가마 유적
소유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관리자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출토|발굴 시기/일시 2009년 9월 15일~12월 24일 -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실시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출토 유물 소장처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로 210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상장안 마을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가마 유적.

[위치]

상장안 분청사기 가마 유적은 부산~울산 간 국도 제14호선을 따라 장안사로 가는 도로 오른쪽의 구릉 경사면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09년 9월 15일부터 12월 24일까지 부산광역시립박물관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보존 상태가 양호한 분청사기 가마터 1기와 폐기장, 굴립주 건물 터 1동과 수혈 2기가 확인되었고, 다양한 기종의 분청사기가 다량 출토되었다. 요체와 폐기장 퇴적층에서 출토된 분청사기는 대부분 대접과 접시이고, 그 밖에 종지·잔·병·개호(蓋壺) 등이며, 특수 기종으로는 염주와 염주 도침을 비롯해 고족 배향 완합, 각종 제기편, 벼루, 장구, 그물추 등이 있다. 제작 도구인 장구 모양의 굽대를 비롯해 원반형·장구형·원통형의 도침(陶枕)[자기로 만든 베개], 갑발(匣鉢), 쇠손칼, 갓모가 출토되었다.

또한 이곳에서 출토된 명문 자기 중 생산한 곳과 공납한 곳을 알 수 있는 명문은 ‘울산 인수부(蔚山仁壽付)’, ‘울산 장흥고(蔚山長興庫)’, ‘경주 장흥고(慶州長興庫)’의 세 종류이다. 그 외에 ‘울산(蔚山)’, ‘관중대구(官中大□)’, ‘대(大)’ 혹은 ‘태(太)’ 명이 새겨진 자기들도 확인되었다. 명문이 새겨진 자기들은 대부분 대접이며, 일부 접시에 새긴 경우도 있다.

1호 가마 소성실의 상단부인 초벌구이 칸에 해당하는 요체 서쪽에는 평행하는 2열의 각각 기둥 4개인 건물 터가 있고, 건물 터와 겹치는 부정형의 수혈 1기와 타원형의 수혈 1기가 확인되었다. 1호 가마는 화구부, 소성실, 연도부, 동쪽 요체, 폐기장 사이의 판축부, 폐기장 등으로 이루어졌다. 전체 길이는 약 25.5m이고 평면 형태는 세장방형(細長方形)[가는 직사각형]에 가까우며, 화구부 쪽에서 약간 넓게 퍼지며 원형을 이룬다. 화구부 조사 결과, 모두 3개의 아궁이가 동일한 곳에 깊이를 다르게 하고, 각 증축마다 불턱[불을 피우는 곳]의 위치가 소성실 방향으로 치우쳤고, 소성실도 3회의 증축이 확인되었다.

소성실 내부에는 소결(燒結)[가루나 또는 가루를 어떤 형상으로 압축한 것을 녹는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였을 때, 가루가 녹으면서 서로 밀착하여 굳음] 점토층과 모래층이 교대로 여러 층이 확인되었는데, 각 점토층의 수는 이 가마의 조업 횟수를 나타낸다. 지금까지 전국에 걸쳐 조사된 분청사기 가마에서 연도부가 제대로 확인된 사례가 없었는데, 경사진 연도와 수직 연도의 가능성을 알 수 있는 흔적이 확인되었고, 향후 분청사기 가마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황]

현재는 어떠한 조치도 없이 야산으로 변해 있어 그 흔적을 찾기가 쉽지 않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상장안 분청사기 가마 유적은 다량의 분청사기편과 함께 보(簠)의 뚜껑·염주·도침·갑발·태토비짐·가마 벽체편 등이 출토되어 기장 지역의 도자기 생산을 구명할 수 있는 주요 유적이다. 또 요체 동쪽에는 퇴적 상태가 양호한 폐기장이 형성되어 있고, 층위 조사를 실시하여 각 층에서 출토된 분청사기의 상대 서열의 정보를 얻었다. 짧은 조업 기간이었다 하더라도 퇴적 층위별로 유물을 수습하였기 때문에 향후 분청사기의 미세한 편년 연구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