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가덕도 연대봉」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5036
한자 加德島煙臺峰
영어의미역 Yeondaebong Peak in the Gadeok Island
이칭/별칭 「연대봉 전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집필자 신주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명당 파손 실패담
주요등장인물 왜군|까치
모티프유형 명산의 명혈 파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1년 7월 12일 - 허원[남, 72]으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3년 8월 15일 - 『가덕도의 기층문화』에 「연대봉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
관련 지명 연대봉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가덕도]지도보기
채록지 대항 마을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덕도동 대항 마을에서 연대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가덕도 연대봉」은 임진왜란 때에 왜군이 봉화를 올리던 연대봉이 명산(名山)임을 알고 명혈(名穴)을 끊어 버리려고 하였으나 파괴하지 못하였다는 명당 파손 실패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3년 부산대학교 부설 한국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가덕도의 기층문화』에 「연대봉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1년 7월 12일 강서구 가덕도동 대항 마을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허원[남, 72]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내용]

연대봉은 웅천의 시루봉, 거제의 옥녀봉과 함께 조선 시대에 봉화를 올리던 산이었다. 어느 해 왜군이 외양포(外洋浦)를 통해 침범하여 연대봉에 이르렀는데, 연대봉이 명산임을 알고 명혈을 끊으려고 했다. 연대봉 바위에 쇠말뚝을 박으려고 하는 순간 그 바위에서 까치 한 마리가 날아갔다. 왜군이 놀라서 결국 바위를 파괴하지 못했다. 날아간 까치가 바로 산신(山神)이다.

[모티프 분석]

「가덕도 연대봉」의 주요 모티프는 ‘명산의 명혈 파괴’이다. 우리 설화에 명혈 파손담은 많이 남아 있다. 명혈을 파괴하는 주체는 명나라 이여송이 대부분이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왔던 이여송이 조선에 큰 인물이 많이 날 것을 두려워하여 산천의 명혈을 끊었다는 이야기이다. 가덕도는 지리적 위치상 왜군의 침입이 잦았고, 그 때문에 침입자인 왜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 컸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가덕도 연대봉」은 이여송이 아닌 왜군에 의한 명혈 파괴라는 전승임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주목되는 점은 명혈이 파괴되지 않았다는 결론이다. 산신[까치]에게 놀라서 왜군이 명혈을 파괴하지 못했다는 결말에는 민족의 자부심을 지키고자 하는 민중의 희망이 반영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