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구도』 「동래부·기장현 지도」[국립중앙도서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66
한자 靑邱圖東萊府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Dongnae-bu Gijang-hyeon in Cheonggu-do[Map of Korea, National Library of Korea]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용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작가 김정호
소유자 국립중앙도서관
제작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
현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정의]

1834년에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기장현 일대 지도.

[개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8년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되었다.

[형태 및 구성]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청구도』 채색 필사본의 이본 중 하나이다. 건(乾)·곤(坤) 2책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청구도제, 청구도 범례, 지도식, 동방 제국도, 사군 삼한도, 삼국 전도, 신라 구주 군현 총도, 고려 오도 양계 주현 총도, 본조 팔도 주현도 총목, 도성도, 군현도, [곤권 말미] 군국 총목표[통계]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도』의 특성은 산이 줄기로 표현되어 있으나 그 연결성은 줄기로 표현된 다른 지도들에 비해 약하다. 군현 관할 지역은 색깔의 차이를 통해 구분하였으며, 동래 읍치와 경상 좌수영, 만호영, 첨사영은 사각형으로 표현하였다.

원 안에면(面)을 넣어 표시한 것은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 『청구도』와 동일하다. 이 지도에서 특징적인 것은 읍치와 만호영 옆에 기재되었던 통계를 생략한 대신 이를 모아 곤(坤) 책의 말미인 군국 총목표에 일괄 수록하여 지도에서 통계 수록을 피함으로써 지도가 한결 간결해졌다는 데 있다. 이는 『청구도』의 이본 제작 과정에서 주기가 지도로부터 분리되는 단계에 제작된 지도임을 보여준다. 대마도에 관한 주기에 “수로(水路)로 480리인데, 동래부 동남쪽 바다에 있다. 본래 신라에 속했는데, 실성왕(實聖王) 7년[408년]에 왜(倭)가 이 섬에 영(營)을 설치함으로 말미암아 왜의 소유가 되었다.”는 설명을 붙여 대마도의 소속이 변천한 사실을 기재하였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의 이본으로 비교·검토 대상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