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4465 |
---|---|
한자 | 靑邱圖東萊府機張縣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Dongnae-bu Gijang-hyeon in Cheonggu-do[Map of Korea. Goryeo University Librar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용출 |
[정의]
1834년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기장현 일대 지도.
[개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8년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되었다.
[형태 및 구성]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청구도』 채색 필사본의 이본으로 기(奇)·우(遇) 2책으로 되어 있다. 내용은 청구도제, 청구도 범례, 지도식, 본조 팔도 주현도 총목, 도성도, 군현도, 신라 구주 군현 총도, 고려 오도 양계 주현 총도, 본조 팔도 위경 합도로 구성되어 있다. 색채 구성에서 동래부는 연두색으로, 기장현은 황색으로, 양산군은 주황색으로 표현하였으며, 따로 군 경계를 사용하지 않았다.
기재 지명과 산지 및 하천의 표현 방법을 보면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 요람(靑邱要覽)』과 거의 일치한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 『청구도』와 비교해 보면 일치성은 더욱 두드러진다. 이를 볼 때 이 지도는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본과 전사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주기에 “대마도는 원래 신라에 예속되어 있었다, 수로(水路)로 470리인데, 동래부 동남쪽 바다에 있다. 실성왕(實聖王) 7년 무신년[408년]에 왜(倭)가 이 섬에 영(營)을 설치하였다.”는 설명을 붙여서 대마도의 소속이 변천한 사실을 기재하였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의 이본으로 비교·검토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