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구도』 「동래부·기장현 지도」[규장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4467
한자 靑邱圖東萊府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Dongnae-bu Gijang-hyeon in Cheonggu-do[Map of Korea, Gyujanggak Library]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용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작가 김정호
소유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제작 시기/일시 1834년연표보기 - 제작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8년 -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834년 제작된 『청구도』에 수록되어 있는 동래부·기장현 일대 지도.

[개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8년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되었다.

[형태 및 구성]

1834년(순조 34) 김정호(金正浩)가 제작한 『청구도』 채색 필사본의 이본 중 하나이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도』는 다른 『청구도』와는 달리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책은 1판, 5판, 9판, 13판 순서로, 2책은 2판, 6판, 10판, 14판 순서로 제본되어 있다. 내용은 청구도제, 일본국도, 동방 제국도, 사군 삼한도, 삼국 전도, 신라 구주 군현 총도, 고려 오도 양계 주현 총도, 본조 팔도 주현 총도, 각 군현 지도 순서로 되어 있다. 산지는 줄기로 표현되었고 연결성은 매우 뛰어나다. 읍치와 경상 좌수영은 굵은 적색 선을 이용하여 사각형으로 표시하였고 만호와 첨사영은 ◇를 변형한 부호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면 지명은 따로 부호를 표시하지 않고 지명을 기재하였다.

[특징]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도』의 특징은 지도에서 모든 주기를 생략한 점이다. 다른 지도에서는 주기를 광곽 외부에 기재하거나 책의 말미에 첨부하는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청구도』에서는 모든 주기를 과감히 생략하였다. 예컨대 다른 『청구도』 이본에 빠짐없이 들어 있던 대마도의 소속 변천에 대한 주기도 생략하였다.

[의의와 평가]

청구도의 이본으로 비교·검토 대상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