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봉래별장첩』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999
한자 蓬萊別章帖
영어의미역 Letters of Congratulations and Encouragements for Yi Deoks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688년연표보기 - 저술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12월 29일 - 보물 제1501호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에 포함 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87년 12월 20일 - 이덕성 통정대부 행동래도호부사에 임명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88년 1월연표보기 - 이덕성 동래도호부사로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7년 2월 21일 - 이덕성의 후손인 이은창·이성주 부자가 보물 제1501호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30건 132점을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기증
소장처 부산박물관 -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로 210지도보기
관련 기관/단체 이은창 가 -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로 43
성격 고도서
저자 남용익 외
편자 이덕성
권책 2책
규격 26.5×20.5㎝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 문신 이덕성(李德成)이 동래도호부사 부임 시 받은 송별 시첩.

[저자]

송별시 등을 지은 사람들은 이덕성의 지인 47명과 조카 4명이다. 건첩(乾帖)에는 남용익(南龍翊), 유상운(柳尙運), 신익상(申翼相), 이지익(李之翼), 홍만용(洪萬容), 유창(劉瑒), 유헌(劉櫶), 신완(申玩), 윤이도(尹以道), 이현석(李玄錫), 송광연(宋光淵), 김창협(金昌協), 서종태(徐宗泰), 강현(姜鋧), 심평(沈枰), 홍수주(洪受疇), 남치훈(南致熏), 서문유(徐文裕), 원성유(元聖兪), 이현기(李玄紀), 이삼석(李三錫), 심권(沈權), 유상재(柳尙載), 김홍복(金洪福), 윤덕준(尹德駿), 박태순(朴泰淳), 심계량(沈季良) 등 모두 27명의 송별시가 실려 있다.

곤첩(坤帖)에는 이우성(李羽成), 이정겸(李廷謙), 송상기(宋相琦), 김연(金演), 유신일(兪信一), 서종헌(徐宗憲), 조기수(趙祺壽), 유성운(柳成運), 홍우익(洪禹翊), 이동암(李東馣), 정후주(鄭後周), 한세보(韓世輔), 정휘주(鄭徽周), ☐세량(☐世良), 조유수(趙裕壽), 권첨(權詹), 이하조(李賀朝), 임사원(任士元), 조정륜(趙正倫), 조태수(趙泰壽)와 조카 송징오(宋徵五), 이진양(李眞養), 종질 이진망(李眞望), 당질 이진검(李眞儉) 등 모두 24명의 송별시가 실려 있다.

송별시 등을 받은 이덕성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 자는 득보(得甫), 호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이다.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8세손으로 1655년(효종 6)에 태어나 1662년(현종 3)에 조실부모하여 숙부 이정영(李正英) 밑에서 성장하였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한 후 동래도호부사, 해주 목사 등을 거쳐 병조·예조·형조 참의, 황해도·강원도·충청도의 관찰사 등을 역임하다가 1704년(숙종 30))에 죽었다.

[편찬/간행 경위]

1687년(숙종 13) 12월 20일에 동래도호부사를 제수 받고 이듬해 1월 초에 부임할 때 당시 상신(相臣), 관직자, 문인, 명사, 친척 등 수많은 인사들의 경하문과 격려문이 쇄도하여, 이를 모아 2책으로 엮었다. 2006년 12월 29일 보물 제1501호 ‘이덕성 초상 및 관련 자료 일괄’에 포함, 지정되었으며, 2007년 2월 21일 이덕성의 후손인 이은창·이성주 부자가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30건 132점을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기증하였다.

[형태/서지]

51명이 육필(肉筆)로 쓴 71수의 시, 4편의 서문 및 1편의 초사(楚辭)를 배접하여 건(乾)·곤(坤)의 2책으로 엮은 것으로, 크기는 26.5×20.5㎝이다. 부산광역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2책으로 편집되었는데, 건첩에는 남용익 등 27인이 지은 칠언 율시 23수, 칠언 절구 3수, 칠언 배율 1수, 칠언 고체시 1수, 오언 율시 1수, 삼오칠언체 1수, 서문 2편 모두 30수의 시와 2편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고, 곤첩에는 이우성 등 24인이 지은 칠언 율시 22수, 칠언 절구 11수, 칠언 장편 1수, 오언 율시 5수, 오언 고시 장편 1수, 장편 고시 1수, 초사 1편, 서문 2편 등 모두 41수의 시, 1편의 초사 및 2편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서, 전체 51명 71수의 시, 4편의 서문 및 1편의 초사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은 대부분 이덕성이 동래도호부사로 부임하게 된 것에 대해 경하, 격려한 것들이다.

[의의와 평가]

『봉래별장첩』은 당대 명사들이 다수 포함된 숙종 대 송별시첩(送別詩帖)의 일례로서 가치가 높은 문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