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792 |
---|---|
한자 | 植民都市 |
영어의미역 | Busan, the Colonial City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홍순권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과 같이 영사 재판권을 가진 제3국에 의해 도시 행정이 이루어지는 도시.
[식민 도시의 형성]
식민 도시는 자국의 영토 안에 있으면서 자국의 주권이 미치지 않는 외국인의 거류지가 설치되어, 영사 재판권을 가진 제3국에 의해 도시 행정이 이루어지는 사실상 제삼국의 식민지와 다름없는 형태의 도시이다. 각국 사이의 조약이나 협약에 의해 조계[외국 거류지]가 설치된 개항장 또는 개시장이 이러한 범주에 속하며, 부산도 그 중 하나이다.
식민 도시로서 부산이 탄생한 것은 1876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조일 수호 조규[병자 수호 조규]’와 그 부속 법안에 근거하여 소위 ‘부산 일본 제국 전관 거류지’라는 개항장이 생겨나면서부터이다. 이후 일본인들이 건너와 정주하면서 부산의 일본 거류지는 점차 ‘근대적 외양’을 갖춘 식민 도시로 발전해 나갔다.
일본인 중심의 도시 발전은 1910년 일제에 의한 조선의 강제 병합 이후에도 계속 이어져, 오늘날 부산이라는 거대 도시의 기반을 형성하였다. 이처럼 부산은 형성 단계부터 일본인들의 주도 아래 건설됨으로써, 전통 도시인 동래와는 단절된 독특한 식민 도시의 발전 과정을 보였다. 1945년 해방 이전 부산이 도시 기능을 비롯하여 도시 경관과 도시 문화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전통적 기반을 지닌 국내의 다른 도시와 뚜렷한 차별성을 보이는 것도 이러한 연유이다.
[시가지의 조성과 확장]
개항 당시 개항장인 부산은 행정 구역상으로는 동래부에 속했으나, 사실상 일본의 조계지로서 독립적인 도시 행정이 실시되었다. 개항 이후 부산으로 도항한 일본인들과 일본 정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일본 거류지를 확대해갔다. 조선 정부를 압박하여 조차지를 늘리고, 불법으로 매수한 토지를 회수하여 이를 거류지의 시가지로 편입시켰으며, 바다의 매축을 통하여 시역을 확대해 나갔다. 그리하여 개항 당시 약 36만 3000㎡[11만 평]에 불과하던 개항장 일본 거류지 면적은 1905년경 일본인 소유 토지 면적을 포함하여 총 18.117㎢[549만여 평]으로 확대되었다.
일본은 용두산을 중심으로 일본인 거류지 주변에 장방형의 간선 도로망을 건설하고 구획 정리를 통해 거류지 공간을 재정비함으로써 이를 근대적 도시 공간으로 바꿔나갔다. 이러한 거류지의 시가지 건설과 영역의 확대는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다. 일본 거류지의 간선 가로망이 완성되고, 도심을 중심으로 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된 것은 1901년경이다. 이를 전후하여 일본은 부산 일본 거류지의 각 구획에 일본식 정(町)의 명칭을 붙이고, 토지를 등급화 하였다. 또 이때부터 부족한 도시 공간의 확보를 위해 연안 바다를 매립하는 사업을 시작하였다.
1906년 통감부 설치 이후에는 「거류민단법」을 공포하여 일본 거류지에 일본 거류민단과 민회를 설치하여 도시 운영을 담당하게 하는 일종의 자치제를 실시하였다. 또 기존에 불법적으로 획득했던 거류지 외곽의 토지를 거류지로 편입시켜 도시 영역을 확장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일본 거류지는 신사가 있는 용두산을 중심으로 동부와 남부는 행정·상업 지구인 도심으로, 서부의 서정(西町) 일대는 주거 지역으로 구분되어 한층 더 정비된 근대적 식민 도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일본 도시 문화의 상징과도 같은 유곽은 처음에는 서정 외곽인 보수천 하구에 설치했다가 통감부 시기에 녹정[옛 완월동, 지금의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으로 이전하였다. 식민 도시로 성장하면서 부산의 인구도 급속히 증가하여 개항 당시 한적한 어촌에 불과했던 부산은 1910년경 인구 7만 1353명의 대도시로 성장하였다. 불과 82명에 불과했던 부산의 일본 거류지의 일본인 인구도 1910년경 2만 3900명으로 늘어났다.
[식민 도시의 구조]
개항기를 통해 근대적 도시로 성장한 부산은 시가지의 공간적 구조뿐만 아니라 도시 문화생활 전반에서 일본 식민지와 같은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신사의 중심적 배치와 서구적 건축 양식의 도심 경관, 주변에의 불교 사원의 배치, 연극장의 건설과 유곽의 시설 등은 그러한 식민지적 도시 경관을 대표하였다.
특히 동관을 중심으로 하는 본정[지금의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동] 일대의 도심에는 영사관을 비롯하여 은행과 우체국 등의 공공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영화관, 극장, 여관 등으로 번화한 시가지가 형성되었다. 생활 문화적 측면에서는 따라 가부키 등 일본의 전통 연극과 신파극, 스모 경기가 성행하였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의 치안 확보를 위해 시가지 중심에 경찰서가 들어서고 시가지 외곽에는 일본군 헌병대와 수비대가 배치됨으로써 치외 법권 지역으로서 식민성을 담지하고 있었다.
개항 이후 일본 거류지를 중심으로 형성 발전한 부산의 식민 도시로서의 속성은 조선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시의 영역이 크게 확대되는 일제 강점기에도 기본적으로 유지되었다. 종래 일본 거류지는 부산의 도심과 주거 지역을 형성하면서 일본인 집단 거주지로 남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조선인들은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 장차 도시 변두리에 별도의 주거 지역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일제 강점기 시기 민족별 거주 공간의 이원화는 부산이 지닌 식민 도시의 역사성에서 기인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