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656
한자 雲水寺浮屠塔-
영어의미역 Stupa of Unsu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로219번길 173[모라동 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조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부도
양식 석종형(石鐘形)
관련인물 원응당 유봉 대사
재질 화강암
크기 1.4m[높이]|50㎝[기단 높이]
소유자 운수사
관리자 운수사
현 소재지 운수사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로 219번길 173[모라동 산 5]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동 운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부도탑.

[위치]

운수사 부도탑(雲水寺浮屠塔)(2)는 모동중학교에서 동쪽으로 백양산(白楊山) 가는 산길에 있는 운수사에서 200m 남짓한 길 옆 솔밭에 세워져 있다.

[형태]

조선 후기의 양식을 그대로 따른 운수사 부도탑(雲水寺浮屠塔)(2)는 높이가 1.4m이며 기단 높이는 50㎝로 나란히 선 운수사 부도탑(雲水寺浮屠塔)(1)보다 규모가 작은 부도이다. 지대석 위에 하대석이 놓이고 중대석 없이 상대석이 놓여 있는데 하대석에는 뚜렷하지 않으나 구름무늬가 새겨져 있고, 상대석에는 앙련(仰蓮)이 새겨져 있다. 작은 부도 상대석에는 승려의 법호가 새겨져 있다. 그러나 운수사 부도탑(2)는 도굴꾼에 의해 파손되어 시멘트로 보수되어 있다. 한편 부도밭 주변에서 기와편 등이 다량 출토된 것으로 미루어 옛날 운수사의 규모가 꽤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금석문]

상대석에 ‘원응당(圓應堂) 유봉 대사(有奉大師)’라는 승려의 법호가 새겨져 있다.

[현황]

운수사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운수사 부도탑(2)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승려의 묘탑으로 당시 부산 지역의 불교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