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490 |
---|---|
한자 | 雲水寺大雄殿石造如來三尊坐像 |
영어의미역 | Seated three stone Buddha statue at Maha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로219번길 173[모라동 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양은경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모라3동 운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여래 삼존불 좌상.
[개설]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雲水寺大雄殿石造如來三尊坐像)은 2008년 9월 11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의 본존인 아미타여래는 팔각 대좌 위에, 협시 보살인 왼쪽의 관음보살과 오른쪽의 대세지보살은 연꽃 대좌[蓮花臺座] 위에 앉아 있다. 1987년에 개금 불사(改金佛事)가 이루어져 현재 전반적으로 도금과 채색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석재는 일명 ‘경주 불석[沸石]’이라고 부르는 백색 석재로, 운수사 부근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어 부산 지역 불교 조각상의 재료로 애용되었다. 아미타여래상은 92㎝, 관음보살상은 86.8㎝, 대세지보살상은 86㎝이다.
[특징]
정수리와 머리 중앙에 표현된 보석인 정상 계주와 중앙 계주의 뚜렷한 표현, 방형의 얼굴, 반달형의 긴 눈썹, 얇고 길쭉한 눈, 돌출되고 작은 코, 작은 입, 짧은 목, 좁은 어깨, 평판적인 가슴, 볼록 나온 아랫배, 두꺼운 통견식(通肩式) 대의(大衣), 어깨·팔꿈치·손목·다리 등에 표현된 몇 가닥의 간략한 주름 등은 18세기 조성된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선암사(仙岩寺)의 목조 석가불 좌상[1713년],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의 목조 아미타불상[1755년],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구례 화엄사 각황전(求禮華嚴寺覺皇殿)의 석가불 좌상[1703년]과 유사하다.
본존상과 보살상의 손 모습인 수인(手印)도 특징이 있다. 본존상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이 아닌 아미타수인(阿彌陀手印)으로 판단되며, 보살상 역시 선정인(禪定印)을 하고 있다. 보살상이 선정인을 하고 있는 경우는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無爲寺) 극락전의 목 관음보살 좌상[1476년],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수종사 오층 석탑(水鐘寺五層石塔) 내에서 발견된 금동 불상군 중 관음보살 좌상[1628년]이 있다.
이들의 선정인 수인은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중 좌 협시인 관음보살상의 자세와 동일하다. 그러나 무위사 극락전과 수종사의 관음보살 좌상은 선정인을 하고 있는 손에 보병을 들고 있어 운수사의 예와 동일하지 않은 형상이다.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 중 좌 협시인 관음보살상의 팔찌 4개 역시 아주 특징적이다. 조선 시대 여타 보살상에서 비교 예를 찾아보기 힘든 자료에 속한다.
[의의와 평가]
운수사 대웅전 석조여래삼존좌상은 부산·경상남도 지역에서 현존하는 18세기의 불상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불상과 보살상의 양식을 통해서 17세기 불상 양식을 계승한 가운데 18세기의 도식적이고 평판적인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불석이라는 재료를 사용한 점 역시 조선 시대 불상의 재료로 많이 이용된 나무나 흙과는 다른 이 지역 불상 재료의 특징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