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파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441
한자 銅把頭
영어의미역 Pommel Fitting
이칭/별칭 가중기,검파두식,칼 손잡이 장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복천동 50]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양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2년 6월 26일연표보기 - 동파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파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복천박물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3[복천동 50]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2동 160
출토|발견지 김해 양동리 고분군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산3
성격 무기|칼 손잡이 장식
재질 청동
소유자 강덕인
관리자 복천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복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삼한 시대의 청동제 칼 손잡이 장식.

[개설]

동파두(銅把頭)는 중앙에 기둥 형태의 입주부(立柱部)를 가진 것으로 한반도에서 자체적으로 제작된 것이다. 입주부는 속을 비워 방울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동검의 의기화(儀器化)와 관련이 있다. 장식성이 강해지는 것 역시 마찬가지이다. 동파두는 검파두식으로도 부르는데, 칼의 손잡이 끝에 매달아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도구로 요령식 동검과 함께 출현하였으며, 처음에는 돌로 만들다가 이후 청동으로 바뀌게 되었다. 중국 동북 지역에서 처음으로 출현하여 한반도로 유입된 것이다. 중국 동북 지역의 것들은 손잡이의 끝에 구멍이 있어 거기에 끼워 넣는 구조이지만, 한반도의 것들은 구멍이 없이 편평한 판에 끈으로 묶어 고정하는 형태로 차이가 있다. 동파두는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형태상의 명칭은 변형 입주부 십자형 청동 검파두식(變形立柱部十字形靑銅劍把頭飾)이다. 입주부는 중앙에 튀어나온 기둥이다. 평면 형태로 보면 십자형인데 정확히 ‘十十’ 자형으로 상하 양쪽에 돌기가 있고, 그것에 직각으로 4개의 가지가 튀어나왔다. 그 위에는 각각 하나씩 말[馬]을 장식하였다.

[특징]

네 마리의 동물을 장식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물을 장식한 예는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품 중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오리 장식 검파두식,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지산동,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용전리 목관 묘,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 E-132호 목관 묘,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리 등지에서 출토된 쌍조형 검파두식 등이 있다. 이들은 재지화된 동물의장과 관련된 것으로 소유자의 개성을 표현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장식성을 가지는 것들은 기원전 1세기경부터 기원후 2세기 사이에 주로 사용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파두는 무게의 중심을 맞추기 위한 기능으로 제작되었지만, 점차 그러한 기능을 잃고 소유자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장식성이 강해지게 된다. 김해 양동리 고분군(金海良洞里古墳群)[사적 제454호]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이 동파두는 그 특징으로 보아 재지적인 동파두에서 변형 발전된 것으로, 청동제 동파두의 변화 양상을 알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