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253
한자 三韓時代-武器
영어의미역 Weapons of the Three Han States Period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
집필자 이현주

[정의]

삼한 시대 부산 지역에서 활용한 무기.

[개설]

삼한 시대 부산 지역의 무기는 일반적으로 크게 공격용 무기와 방어용 무기로 구분한다. 공격용 무기는 다시 원거리 무기, 근거리 무기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원거리 무기로는 활과 화살[弓矢]을 들 수 있으며, 근거리 무기는 철검(鐵劍)·철도(鐵刀)·쇠 투겁창[鐵矛] 등이 있다. 방어용 무기는 갑옷과 투구, 방패가 있다.

문헌상에 나타난 삼한 시대 무기 양상을 살펴보면,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동옥저조(東沃沮條)의 “[옥저] 사람의 성품은 꾸밈없이 질박하고 솔직하며 굳세고 용감하다. 소와 말이 적어 번번이 창을 들고 보병전을 한다[人性質直彊勇 少牛馬 便持矛步戰]”라는 기사와, 같은 책 변진전(弁辰傳)의 “소와 말로 수레를 타고 번번이 보병전을 하며 무기는 마한과 같다[乘駕牛馬 便步戰 兵杖與馬韓同]”라는 기사가 주목된다.

이 기록으로 본다면 당시 예맥(濊貊)이나 삼한을 막론하고 동이족은 창을 이용한 보병 전투 방식에 능하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는 고고학적으로도 삼한 시대의 유적에서 쇠 투겁창이 가장 많이 출토되어 무기 체계 내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로도 입증된다.

[삼한 시대 철제 무기]

1. 칼

철제 무기는 출현할 때부터 모든 무기가 동시에 갖춰진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전술적 변화 등을 통해 새로운 무기가 탄생·소멸의 과정을 거친다. 철검은 무경식(無莖式)·단경식(短莖式)·장경식(長莖式)으로 구분되는데, 무경식과 단경식은 길이 30㎝ 전후의 단검형(短劍形)이며, 장경식은 길이 40㎝ 이상의 장검형(長劍形)이다. 철제 단검은 청동기 후기의 무기인 세형동검(細形銅劍)이 철기로 전환하면서 나타난 형식으로, 청동제 검파두식(劍把頭飾) 및 칼집 장식 등과 세트를 이룬다. 대표적으로 기장군 정관읍 방곡리 유적 가-1호의 예가 있다.

단검은 삼한 시대 전 시기 동안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주요한 공격용 무기이었으나, 삼국 시대 이후가 되면 칼과 창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출토되는 양이 줄어들고 권력의 상징물로 한정되는 경향을 띤다. 철제 장검은 부산 복천동 고분군 145호의 예가 있는데, 손잡이에 삼각 톱니무늬[三角鋸齒文] 장식이 있다.

철도는 고리 자루 큰 칼[環頭大刀]이 있으며, 부산 노포동 유적에서는 크고 작은 2개의 칼이 쌍을 이루어 출토되기도 한다. 고리 자루 큰 칼의 경우는 주로 대형분에서 출토되는 신분 상징의 무기로도 기능을 하였다. 낙랑군의 중계 무역을 통해 중국 한(漢)의 무기 체계가 유입된 것으로, 양날의 검에 비해 몸체가 단단하고 한쪽 날만 갈아도 된다는 점에서 생산성이 수월하여 보급이 확대된 무기라고 할 수 있다.

2. 창

철모는 관부(關部)[칼자루와 칼날의 결합 부분]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관부가 창 몸체의 최대 폭에서 점차적으로 축소되어 가는 형태는 철모의 출현기부터 나타나며, 널무덤[木棺墓] 단계에서 대부분 이러한 형태의 철모가 부장된다. 대표적인 예로 방곡리 유적, 부산 노포동 ‘나’ 지구 널무덤 출토품 등이 있다. 덧널무덤[木槨墓] 단계에서 출토되는 철모는 관부 형태가 이단병식(二段柄式), 직각, 사다리꼴, 돌출형 등 매우 다양하다. 이단병식 철모는 진한·변한 지역에서만 출토되는 독특한 형식으로 관부가 한 번 꺾이면서 단이 진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154호에서는 이단병식 철모와 사다리꼴 철모, 철검가 함께 출토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덧널무덤의 늦은 단계인 3세기 후반대가 되면 실전용 철모는 장식성이 가미되어 길이 40㎝ 이상으로 장신화(長身化)하면서 관부가 돌출하거나 고사리무늬[蕨手文]가 부착되는 등 장식성이 강화된다. 특히 부산 노포동 21호에서 출토된 쇠창의 경우 길이가 75㎝ 정도로 장신형인 것도 있다. 3~4세기 경주 지역에서는 관부가 돌출된 장신형 철모를 무덤 바닥에 철도 레일처럼 직교 방향으로 깔아 관대(棺臺)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주 지역과 가까운 노포동 유적에서도 이러한 장신형 철모가 다수 확인된다.

3. 화살촉

삼한 시대 철제 무기 중 가장 수량이 많은 무기는 쇠 화살촉이다. 쇠 화살촉은 무경식과 유경식(有莖式)으로 구분된다. 무경식은 삼한 시대 전 시기 동안 출토되는 형식으로, 양측선이 평행·외경·내만하는 형태가 있으며, 결입부(抉入部)는 삼각형·사다리꼴형·호형(弧形)으로 나눌 수 있다. 유경식은 삼한 시대 후기인 덧널무덤 단계에서 출토되는데, 촉신(鏃身)의 형태에 의해 유엽형(柳葉形)·유엽 역자식(柳葉逆刺式)·사두형(蛇頭形)·능형(菱形)·단면 V자형[骨鏃形]·착두형(鑿頭形)[끌형] 등 다양하며, 이는 기능적인 차이도 있으나 시간성을 반영한다.

크기는 처음에는 소형이었으나, 점차 대형화한다. 노포동 31호의 경우 한 무덤에서 유경식 쇠 화살촉만 112점이 출토하였는데, 이 같은 쇠 화살촉의 대량 매납이 위세적(威勢的)인 측면도 있지만 무경식 쇠 화살촉을 대신하여 유경식 쇠 화살촉으로 일반화하였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4. 기타

방어용 무기의 철제화는 4세기에 처음 이루어지므로 삼한 시대에는 예를 찾아볼 수 없다. 다만 노포동 31호에서는 동심원이 연결된 무늬가 방패 장식으로 추정되며, 그 옆에는 가죽으로 된 갑옷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유기질제 갑주(甲冑)의 존재에 대한 인식은 반드시 필요하다. 가죽으로 된 비늘 갑옷[札甲] 조각은 창원 다호리 유적 2호 묘에서 출토된 예도 있다.

[변천]

삼한 시대 철제 무기의 편성으로 본 시기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면, 기원전 1세기~기원후 2세기까지는 단검과 쇠창의 사용이 주를 이룬다. 지역적으로는 대구, 경산 지역은 철제 단검이 우세하고, 부산·김해 지역은 쇠창의 부장이 우세하긴 하지만 대부분은 창과 창을 동시에 소유하였기 때문에 기능적인 분화나 전술적인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2세기 후반이 되면 한의 무기 체계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루와 검신이 긴 장검과 고리 자루 큰 칼이 출현하게 되고, 철모의 대량 매납이 이루어지며 유경식 쇠 화살촉이 등장하고 전투 형태에도 변화가 있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