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427
한자 多大僉使營甲胄
영어의미역 Dadae Cheomsayeong Armor and Helmet
이칭/별칭 다대포 첨사영 갑주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안락동 83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토|발굴 시기/일시 1970년연표보기 - 다대진 동헌에서 발견
이전 시기/일시 1978년 - 부산대학교 박물관에서 충렬사 관리 경역 내 기념관으로 이전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5월 8일연표보기 - 다대첨사영 갑주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다대첨사영 갑주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충렬사 기념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345[안락동 838]지도보기
원소재지 윤공단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1234지도보기
출토|발견지 다대진 동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산144지도보기
성격 갑옷|투구
재질 모전(毛氈)|쇠가죽|놋쇠
크기 122㎝[갑옷 길이]|53㎝[갑옷 품]|65㎝[갑옷 화장]
소유자 부산광역시
관리자 부산광역시 충렬사관리사무소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충렬사 내 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윤공단(尹公壇) 제향 봉행 때 사용하던 제복.

[개설]

다대첨사영 갑주(多大僉使營甲胄)는 임진왜란 때 다대진성(多大鎭城)에서 싸우다 전사한 윤흥신(尹興信)의 제향 때 제복(祭服)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조선 후기의 두정(頭釘)[대가리가 둥글고 버섯같이 생긴 못] 갑옷과 투구 한 벌이다. 다대진 동헌(多大鎭東軒) 이전 때 건물 안에서 발견되었으며, 이후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 산30번지에 있는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었다가 1978년 충렬사 내 기념관으로 옮겨졌다. 2004년 5월 8일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갑옷의 겉감은 짐승 털로 짠 붉은색 모전(毛氈)이고, 속은 흰색 무명을 누볐으며 하늘색 무늬 공단으로 안을 받쳤다. 두정 갑옷은 소매 아래와 옆줄이 모두 트인 활개식(活開式)의 갑옷이다. 갑옷의 크기는 길이가 122㎝, 품이 53㎝, 화장이 65㎝로 전체적으로 옷이 넓고 크다. 목둘레에는 꽃잎 모양의 두정을 앞뒤 각각 10개씩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더하였다. 앞뒤 몸판에는 지름 1㎝의 두정을 가로 2㎝, 세로 5.5㎝ 간격으로 박았으며, 지름 2.4㎝의 큰 두정을 그 사이사이에 배치하였다. 안에는 4.5x6.5㎝가량의 장방형 철판을 비늘 모양으로 나란히 두었는데, 겉의 두정과 연결되어 있다. 철판의 가장자리에는 0.5㎝ 정도의 가죽을 두르고 옻칠을 하였다.

투구는 앞이마에 첨[챙]이 부착되어 있다. 쇠가죽을 두 겹으로 하여 틀에 넣어 정형한 다음, 그 위에 검정 옻칠을 하였다. 겉은 여러 가지 놋쇠로 무늬를 장식하였으며, 안은 흰색 가죽 조각을 이어 붙였다. 표면 하단 가장자리에는 넓이 1㎝가량의 놋쇠 띠를 두르고, 앞이마 부분에는 낮게 봉황문을 장식하였다. 두구의 곡면 보강을 위해 폭 1㎝ 정도의 놋쇠 띠를 전후좌우에 세워 정수리에 합치고 용과 봉황 무늬[龍鳳紋]을 새긴 반구형의 놋쇠 장식구로 마무리하였는데, 정수리 장식은 소실되고 없다. 각 띠에는 ‘만(卍)’ 자 무늬와 ‘◇’ 무늬가 투각(透刻)되어 있다. 전면에는 띠를 따라 작은 구름을 장식하였고, 후면 좌우의 넓은 공간에는 두 마리 봉황을 새긴 무늬[쌍봉문(雙鳳紋)]을 크게 장식하였다.

[특징]

두정 갑옷은 조선 후기에 발달한 방호복(防護服) 가운데 한 점이다. 이 갑옷과 투구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윤흥신을 위한 제향 때 착용된 제복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갑옷 내부에 철편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 실전용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의의와 평가]

다대첨사영 갑주는 임진왜란 때 싸우다 전사한 선열들의 호국 충절 정신이 담긴 유물이다. 조선 후기의 갑옷과 투구의 모습을 보여 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우리나라 무관복(武官服) 연구에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21.06.10 수정 문화재 지정 명칭 변경->다대포 객사->다대진 동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