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다대진성 전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077
한자 多大鎭城戰鬪
영어의미역 Battle of Dadae-jinseong Fortres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투
관련인물/단체 윤흥신|윤공단
발생|시작 시기/일시 1592년 4월 15일연표보기 - 부산진성을 함락한 일본군의 침입
종결 시기/일시 1592년 4월 15일연표보기 - 일본군이 다대포성 점령
발단 시기/일시 1592년 4월 14일 - 일본군의 일부가 서평포와 다대포 공격
전개 시기/일시 1592년 4월 14일~15일 - 다대진의 윤흥신 군사와 일본군의 전투
발생|시작 장소 다대포진성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종결 장소 다대포진성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정의]

임진왜란 때 부산 다대포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

[개설]

1592년 4월 15일에 다대포 첨사 윤흥신(尹興信)의 군사와 일본군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군사가 다대진성에서 싸운 전투이다. 다대포가 외떨어진 곳이어서 전투의 상황이 늦게 알려졌다. 다대진의 군·관·민은 끝까지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일본군은 조선의 해안 방어 세력을 제거하고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역사적 배경]

1592년 4월 14일 부산진성을 함락시킨 고니시 유키나가 군은 기세를 타고, 해안 방어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인접 지역인 서평포(西平浦)와 다대포진을 공격하였다.

[경과]

1592년 4월 14일 서평포와 다대포의 군사들이 일본군의 공격을 물리치자, 일본군은 15일 군사를 재정비하여 다대포진성을 총공격하였다. 그런데 두 진영의 전투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서평포와 다대포는 모두 지금의 부산 영역이었지만 부산포보다 군사적 지체도 낮고 고을 규모가 작으며, 외떨어진 곳이었기 때문이었다.

다대진성 전투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1757년(영조 33) 동래 부사를 역임한 부제학(副提學) 조엄(趙曮)의 다대포 첨사 『윤공 전망 사적서(尹公戰亡事蹟敍)』에 나타난다. 1764년(영조 40) 부사였던 강필리(姜必履)『윤공 사절기』에서 당시의 전투 상황에 대해 항전 끝에 성이 함락된 것을 15일로 보고 있다.

1782년(정조 5)에 찬한 홍종응(洪鐘應)의 「첨사 윤공 흥신 순절 비문(僉使尹公興信殉節碑文)」을 통해서 전투 상황을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이 비문에서는 “부산진성을 함락한 왜군이 군사를 나누어 그 선봉군이 다대진성를 포위하였다. 이에 첨사는 힘써 싸워 적을 격퇴하였다. 그 때에 휘하의 한 군사가 말하되, ‘머지않아 적이 반드시 대거 침공해 올 것이니, 피하는 것밖에 도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라고 아뢰니, 공이 꾸짖어 말하기를, ‘오직 죽음이 있을 뿐이다’라고 대답하고 결사의 뜻을 피력하였다. 그 다음날 드디어 적의 대군이 침략하여 오니, 첨사는 휘하의 군사를 이끌고 동생 윤흥제와 함께 적군에 뛰어 들어 분투를 거듭하다가 장렬한 전사를 하매, 이에 성도 함락되었다”고 하였다.

[결과]

1592년 4월 14일 부산진성이 함락된 후 일본군의 다수 병력은 동래로 향하고, 나머지 소수의 병력으로 다대포를 포위하였으나 격퇴를 당하였다. 이에 다음날 15일 동래성과 함께 다대포성도 일본군의 대규모 공격을 받아 결사 항전하였지만 함락되었다. 이때 첨사 윤흥신도 사절(死節)하였다. 일본군은 조선 침략 이후 경상도 해안 지역의 요충인 부산진다대포진을 점령하여 조선군의 해안 방어 세력을 제거하고 해두보(海頭堡)를 확보하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다대진성 전투는 소규모 전투였지만, 1592년 4월 14일 임진왜란 초기에 서평포와 다대포에서 일본군에게 패배를 안겼다. 비록 15일 함락되었지만, 일본군에게 타격을 입히고 결사 항전하다 패배함으로써 일본군에 대한 항전 의지를 고양시켰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오** 위 내용 중 다대포진이라는 말은 모두 다대진으로 바꾸는 게 옳을 것 같습니다.
다대포진성 역시 다대진성으로 바꿔야 합니다.
다대포 첨사 윤흥신 역시 당시 공식 직제명인 다대진첨사 윤흥신으로 바꿔야 합니다.
2016.10.0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