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352
한자 釜山靈山齋
영어의미역 Celebration of Buddha's Sermon on Vulture Peak Mountain
이칭/별칭 영산작법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950번나길 80-42[모라동 159-1]
집필자 최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3년 4월 20일연표보기 - 부산영산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부산영산재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재지정
의례 장소 관음사 - 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950번나길 80-42[모라동]지도보기
성격 전통 불교 의식
신당/신체 법당|위패
문화재 지정번호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정의]

부산 지역에 전승되고 있는 불교의 영혼 천도 의식.

[개설]

부산영산재금정산(金井山) 범어사와 영축산(靈鷲山) 통도사의 승려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부산불교어산회(釜山佛敎魚山會)를 이은 부산영산재보존회에서 계승하고 있는 불교 의식이다. 이를 ‘영산작법’이라고도 한다. 「영산재」는 영산회상(靈山會相)[석가여래가 영축산에서 제자들에게 『법화경(法華經)』을 설법한 모임의 모습]을 재현한 불교 의례로, 영혼 천도나 국가 안녕 등을 기원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이 의식 때에는 음악, 무용과 더불어 연극까지 종합적인 공연 예술의 요소가 함께 연출된다. 부산영산재의 유래·구성 및 진행 절차가 독창적이고 소박하나, 작법무(作法舞)도 춤의 구성이 특이하다. 특히 나비춤은 느리고 장엄한 춤사위와 내용이 지역적 특징을 가지며, 범패는 가락이 다양하며 독창적이고 담백하다.

[연원 및 변천]

100여 년 전부터 범어사와 통도사의 승려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어산회가 범패와 작법무 및 「영산재」의 의식 절차를 계승하였다. 범어사의 안관회(安寬悔)·대산(大山) 스님의 맥을 계승한 금정산 국청사의 주지 김용운(金龍雲)이 1972년 10월에 부산시 무형 문화재 제1호 「범패」 보유자로 인정되었으나, 이듬해 정월 입적으로 무형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가, 1991년에는 그의 제자들이 의식 절차를 다시 정비하였다. 1993년 4월 20일에는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9호로 지정되면서 문영호(文瑛浩)가 도량장엄과 범패, 조병태(趙炳台)가 범패, 김영규(金英奎)가 나비춤, 신석갑(辛錫甲)이 바라춤의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신당/신체의 형태]

법당 안의 지장단에는 십왕번, 영단에는 칠여래번을 각각 걸고, 위패의 좌우로는 종이돈으로 에워싸고, 영단의 밖에는 별도로 관욕단을 설치한다. 법당 밖의 야외 도량에는 앞뜰에 횡렬로 줄을 치고 여러 가지 번을 달며 온갖 등롱과 괘, 십이지, 팔회강, 연, 깃발, 일산 등을 배열한다.

[절차]

부산영산재는 처음 의식 절차로 천도 받을 대상 영혼을 사원 밖에서 모셔 오는 시련(侍輦) 의식부터 시작하여, 마지막 의식 절차로 천도 받을 영혼을 돌려보내는 봉송(奉送) 의식까지 진행한다. 작법의 진행 과정에서는 줄곧 범패(梵唄)가 불러지며, 태징·꽹과리·북·바라·목탁·요령·쇄납과 범종·법고·운판·목어 등이 연주된다. 악기의 기본 타법이 내림쇠이며, 끝에 영남쇠라는 3타(三打)[불·법·승]를 한다. 특히 부산영산재의 기본이 되는 범패는 통(通)·범(梵)소리로 분류되며, 통·범 소리는 가락이 다양하고 엄숙하고 독창적이며, 홑소리를 많이 부른다.

전체적인 구성이나 의식 절차가 소박하며, 작법무도 바라춤과 나비춤만 공연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2명의 겹바라로 추는 부산의 바라춤은 한손바라를 머리에 이고, 다른 한손바라는 수평으로 뻗치며 회전하고, 양손바라는 합쳐 수평으로 뻗치며 회전하기를 반복하는 특색이 있다. 나비춤은 느리고 춤사위가 장엄하며, 팔정도와 십선(十善)을 상징하는 팔회십전(八廻十轉)이 특징이다.

[현황]

부산영산재는 현재 부산영산재보존회[부산광역시 사상구 백양대로950번나길 80-42[모라동] 관음사]를 중심으로 전승·보존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