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345 |
---|---|
한자 | 輿地圖機張縣地圖 |
영어의미역 | Map of Gijang-hyeon in Yeojido [Map of Korea] [18th century] |
분야 |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서화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윤용출 |
[정의]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기장현 지도.
[개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8년 『부산 고지도』에 포함되어 영인 간행되었다.
[형태 및 구성]
『여지도(輿地圖)』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방색을 조화하여 산천, 성곽, 도로 등을 실제 모양과 유사하게 표현하였다. 지도의 내곽선 밖 상단 여백에 각 군현의 옛 이름과 별호를 기록하였다. 우측 여백에는 한양에서 각 군현까지의 일정(日程)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지도를 만든 뒤에 별도로 기입한 것으로 보인다. 크기가 작고 아담하여 보관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지도의 구도는 『해동 지도(海東地圖)』및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여지도(輿地圖)』와 거의 유사하여 모사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동 지도』에 비해 산세가 약간 강하게 표현되고, 읍성에 여장(女墻)[성가퀴]이 나타난다. 기장현의 전체적인 구도는 『해동 지도』와 유사하나 주기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읍성이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하천의 유로 표현에 약간 차이가 있다. 본류와 지류라는 측면에서 보면 거의 동일하다. 읍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그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직사각형에서 약간 둥근 형태로 바뀌어 있다. 읍성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현재의 죽성천 남쪽의 해안선은 『여지도』 「기장현 지도」에 동서 방향으로 묘사되어 있다.
[특징]
『여지도』 「기장현 지도」의 뒷면이나 옆면에 인구, 환곡, 경지 면적, 사방 경계, 성곽, 창고, 면의 이름과 위치에 관한 내용이 주기로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여지도』 「기장현 지도」는 18세기 중엽 기장현에 관한 지리 정보를 수록하여, 지방 각 군현의 지역 사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