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3198 |
---|---|
한자 | 百中 |
영어음역 | Baekjuing |
영어의미역 | The Buddhist All Souls´ Day [the 15th of the 7th lunar month] |
이칭/별칭 | 백종,백종절,중원일,망혼일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부산광역시 |
집필자 | 조원영 |
[정의]
부산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풍습.
[개설]
백중(百中)은 망자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를 올리고, ‘세 벌 김매기’가 끝난 후 머슴을 쉬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백중(百衆), 백종(百種), 백종절(百種節), 중원일(中元日), 망혼일(亡魂日) 등이라고도 한다. 백중은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백중놀이를 즐기면서 하루를 보내던 농민의 명절로서 농민들의 여름철 축제로 굳건하게 자리를 잡았다. 부산 지역의 민간에서는 백중이란 말로 통일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백중은 원래 불가에서 부처의 탄생, 출가, 성도, 열반일 등을 합한 4대 명절에 우란분재(盂蘭盆齋)를 더하여 5대 명절로 한다. 우란분(盂蘭盆)은 범어의 ‘Ullamana’를 음사(音寫)한 오람파라(烏籃婆拏)가 와전된 것이다.
「우란분경(盂蘭盆經)」에 의하면 목건련 존자가 천안통으로 지옥을 보니 그곳에서 자신의 어머니가 고통 받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 부처님께 구제 방법을 물어서 어머니를 천도했다고 한다. 여기서 유래된 의례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효행 사상과 관련되어 「우란분경」도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백중에 관한 기록들은 여러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김육(金堉)[1580~1658]의 『송도지(松都志)』에 7월 15일을 백종이라 부르는데, 남녀가 주식(酒食)을 차려 놓고 삼혼(三魂)[사람 몸 가운데에 있는 3가지 정혼(精魂)으로 태광(台光)·상령(爽靈)·유정(幽靜) 등을 일컬음]을 부르며 우란분재의 고풍(古風)이라 하였다. 『송남잡지(松南雜識)』에서는 ‘백종(百種)·백중(白中)’을 병기하였다. 『규합총서(閨閤叢書)』·『이운지(怡雲志)』·『용재총화(慵齋叢話)』에는 ‘백종(百種)’으로만 기록되어 있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는 7월 15일은 속칭 백종이라 부르며, 백종에는 중들이 100가지의 화과(花菓)를 갖추어서 우란분을 설치하고 불공한다고 했다.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는 백종절이라고 하여, 중원일에 100가지 꽃과 과일을 부처님께 공양하며 복을 빌었으므로 그날의 이름을 백종이라 붙였다고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를 그대로 인용하여 백종일이라 불렀다.
20세기 초 장지연(張志淵)[1864~1921]의 『조선 세시기(朝鮮歲時記)』에서는 속칭 백종절이라 하고 백중이라 하였다. 도시의 사녀(士女)가 주찬을 성대하게 차리고 산에 올라가 가무로 놀이를 하니, 그 풍속이 신라와 고려부터의 풍속이라고 하였다. 숭불(崇佛)로 인해 우란분공을 위하여 백종의 채소와 과일을 구비하였던 탓으로 백종이란 말이 생겼다고도 하고, 혹은 백곡지종(百穀之種)에서 나왔다고는 하나 설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절차]
백중에는 민간에서 망혼제(亡魂祭)를 지내고, 절에서는 스님들이 석 달 동안의 하안거(夏安居)를 끝내는 날이기도 하다. 즉 우란분재와 백중은 조상 영혼의 천도(遷度), 참회와 중생 제도, 나아가서 일꾼들이 즐기는 농촌 축제의 날이 된다.
백중은 한 마디로 먹고 마시고 놀면서 하루를 보내는 날이다. 백중놀이는 ‘두레 먹기’에서 두드러진다. 백중에 열리는 두레 먹기야말로 두레 일꾼들이 모처럼 노동의 피로를 풀어내는 축제였다. 백중놀이는 지역에 따라 명칭이 다소 상이하게 나타난다. 호미걸이, 호미씻이, 술멕이, 풋굿, 질먹기, 진서턱[진세턱] 등이 대표적이다. 여름철 우물고사도 중요한 행사였는데 지역에 따라서 백중과 칠석에 혼재되어 나타나므로 칠석 놀이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백중날에 머슴들에게는 백중빔이라고 하여 새 옷을 장만해 주었으며, 모처럼의 휴가를 주어 백중장에서 즐기도록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부산 지역에 있는 사찰에서는 백중날이 되면 우란분재를 봉행한다. 삼광사[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산131번지]의 우란분재는 입제 법회를 시작으로 백중 회향일까지 49일 동안 지극한 정성으로 천도 법요를 봉행한다. 초청 작가 서화 전시회와 초청 연극 등을 개최하여 부산 시민과 함께 하는 백중 행사가 되도록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현대까지 이어지는 사찰의 백중 행사라 할 수 있다.
범어사[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546번지]의 우란분재는 영가(靈駕)를 모시는 대령, 영가를 목욕시키는 관욕(灌浴)의 의식을 행한 다음 부처에게 불공을 드리는 상단 불공, 영가에게 음식과 법식을 베푸는 시식을 행한 후 영가를 보내는 봉송으로 진행된다. 이처럼 사찰에서 우란분재를 지극 정성으로 봉행하는 까닭은 우란분재 법요가 부모님과 조상님께만 올리는 공양이 아니라 우주 법계의 모든 무주고혼(無主孤魂)에게도 공양을 올리는 깊은 뜻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사찰에서 행하는 우란분회와 달리 민간에서는 망혼일이라 하여 여염집에서 중원 달밤에 채소, 과일, 술, 밥을 갖추어 죽은 어버이 혼을 부른다고 하였다. 한편 충청도 풍속에 15일에는 노소가 저자로 나와 마시고 먹으며 즐길 뿐더러 씨름놀이도 하고, 경사대부 집에서는 초하룻날이나 보름날에 올벼[早生稻]를 사당에 천신한다고도 했다.
순수한 의미에서의 백중놀이란 머슴들이 장터로 가서 노는 놀이를 뜻하였다. 백중날은 머슴들이 주동이 되어 장터에 가서 씨름 대회에 참가하였다. 상인들은 시장 경기를 부추기는 방법의 하나로 씨름 대회를 열었으며 음식 장사, 술장사 등 난장(亂場)이 섰다. 머슴들은 씨름에 이기면 송아지를 끌고서 기세를 올리면서 자기 마을로 돌아왔다. 백중놀이에서 머슴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대목이다.
농민들에게는 1년에 2차례 거대한 농민 축제가 존재했다. 겨울철 휴한기인 정월 대보름과 여름철 휴한기인 7월 백중이 그것이다. 그러나 대보름과 달리 7월 백중은 두레의 소멸과 더불어 거의 잊혀 가는 풍습이 되었으나, 전통 명절인 추석과 연결되어 백중 이후 조상의 묘소를 찾아가 단장하는 벌초(伐草)가 행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