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산 상수도 소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3021
한자 釜山上水道小誌
영어의미역 Publications for Busan Waterworks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간행자 부산일본거류민단역소
저술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저술
간행 시기/일시 1914년 3월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 51-1]지도보기
간행처 부산일본거류민단역소 -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 2가

[정의]

1914년 부산일본거류민단역소에서 간행한 부산 지역 상수도 시설 현황 안내서.

[개설]

초량 왜관 시대 부산에 거주했던 일본인들은 음용수로서 왜관 내에 있던 2개의 우물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부산항 개항 이후 늘어나는 일본인의 증가에 음용수를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로 대두하였다. 이에 부산 거류 일본인들은 부산거류민단을 중심으로 부산 지역 상수도 시설 확장에 앞장섰다. 『부산 상수도 소지(釜山上水道小誌)』는 1890년부터 1914년까지 부산 지역 수도 시설의 각 시기별 확장 공사 현황과 수도 시설의 경영 및 시설 유지에 대한 제반 내용들을 기록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1914년 부산의 일본거류민단역소가 폐지되는 것에 즈음하여 그 동안 거류민단역소에서 중점 사업으로 추진했던 부산 지역 상수도 시설의 현황을 기록으로 남겨 두기 위해 발간하였다. 간행자는 부산일본거류민단역소이다.

[서지적 상황]

국판 크기이고 199쪽 분량이다. 현재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구성/내용]

『부산 상수도 소지』는 제1장 연혁, 제2장 수도(水道), 제3장 경영 및 유지, 그리고 부록으로 목차가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부산의 수도 연혁에 대해 간단하게 기술하고 있다. 제2장은 제1기 수도[1894년 6월부터 1895년 1월], 제2기 수도[1901년 1월부터 1902년 1월], 제3기 수도[1908년 4월부터 1910년 9월] 공사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공사 현황에 대해 설비, 재원 조사, 계약 체결, 공사 위탁, 시공, 통수(通水), 결산, 사무 인계 등의 세부적인 사항들을 서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수도 시설의 경영, 제 규칙, 자금 차환, 공사 준공 이후의 여러 공사, 수원지 함양림(涵養林), 급수 성적표, 송수량(送水量), 전염병과 수도, 수도 수질 시험 성적 등에 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부록으로 수관 선로(水管線路)와 송수 선로(送水線路)의 평면도가 수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개항 이후 부산 지역 근대 수도 시설의 현황을 이해할 수 있는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특히 부산의 상수도 시설은 1908년 8월 준공된 서울의 뚝섬 수원지 제1정수장시설보다 훨씬 앞선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한국 수도 시설의 기원이 부산이었음을 확인시켜 주는 매우 중요한 책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