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971 |
---|---|
한자 | 釜山日本人商業會議所年報 |
영어의미역 | Yearbook for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in Busan |
이칭/별칭 | 『부산상업회의소 연보』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차철욱 |
[정의]
개항기 때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가 발행한 정기 간행물.
[창간 경위]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 연보(釜山日本人商業會議所年報)』는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가 회원들에게 부산의 무역과 금융 등 경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발간된 것이다.
[형태]
연 1회씩 발간하는 연보이며, 창간과 종간 연도는 확인할 수는 없다. 1905년 판의 발행인은 구납중길(久納重吉)이며, 판형은 국판이다.
[구성/내용]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 연보』는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의 각종 회의 결정 사항 및 임원진의 활동, 한국의 무역 상황, 부산의 무역 상황, 부산항의 교통 운수·상공업·금융, 부산항의 기상, 부산거류민단(釜山居留民團)의 소식, 각종 통계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사들은 당시의 시대상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즉 한국과 일본의 경제 시스템을 통합시키려는 노력이 기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당시 한국 화폐인 엽전의 처리 문제와 도량형의 통일이 주요 소재였다.
또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 연보』가 간행되던 시기는 조선이 아직 식민지가 아니었기 때문에, 일본인들과 조선인들이 갈등하고 있는 모습도 자주 포착된다. 예를 들어 1907년 조선인 인부들의 동맹 휴업, 국채 보상 운동 등 조선의 반일적인 사회 분위기에 대응하는 일본인상업회의소 측의 반응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1906년판 부록으로 『일한 상품 박람회 보고 개요(日韓商品博覽會報告槪要)』가 첨부되어 있어, 당시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가 주최한 행사의 전모에 대해 상세히 알 수 있다. 또 1907년판에는 한국의 순종(純宗) 황제가 부산을 방문해, 상품 진열관을 둘러보고 하사금을 내린 사실도 크게 다루고 있다.
[변천과 현황]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는 부산상업회의소의 전신으로, 1897년 부산상법회의소에서 기원하였다. 이후 1893년 부산항일본인상업회의소, 1908년 부산상업회의소, 1916년 조선인 측의 유사 단체와 통합하여 부산상업회의소라고 칭하는 등 여러 차례 명칭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기관지의 명칭도 1908년 이전에는 『부산일본인상업회의소 연보』였으나, 이후에는 『부산상업회의소 연보(釜山商業會議所年報)』로 변경되었다. 일본 히토츠바시 대학[一橋大學] 경제연구소가 1904년~1908년 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이 1907년 판과 1909년 판을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이 식민지로 접어들기 전 부산항의 경제 상황과 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