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90
한자 美音洞粉切-
영어의미역 Mieum-dong Bunjeol Shell Mound
이칭/별칭 미음동 분절 패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산단로 417[미음동 1010-1]|미음산단 4로 64~미음산단 4로 55[미음동 1209~1217]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삼한,고대/삼국 시대,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백승옥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조개더미
크기 33m[길이]|20.6m[최대 너비]|50~200㎝[두께]
소유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관리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7년연표보기 - 동아대학교 박물관 지표 조사 실시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0년 8월 11일~12월 23일연표보기 - (재)경남문화재연구원 발굴 조사 실시
현 소재지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미음 지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1010-1지도보기
현 소재지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미음 지구 -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1209~1217지도보기
출토 유물 소장처 (재)경남문화재연구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팔용동 6-37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에 있는 삼한 및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조개무지 유적.

[개설]

2007년 동아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삼국 시대의 적갈색 연질 및 회청색 경질 토기편을 채집하여 삼국 시대 분절 패총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다가 이 지역이 부산도시공사에서 시행하는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미음 지구] 개발 사업 부지로 편입되어 현상 변경이 예정되어, (재)경남문화재연구원과 복천박물관의 시굴 조사를 거쳐 2010년 8월 11일부터 12월 23일까지 (재)경남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치]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부산광역시 강서구 미음동 분절 마을 일대로,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미음 지구 내에 위치한다.

[형태]

조개더미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토기류이고, 일부는 토제류, 석기류, 철기류 등과 패각(貝殼), 수골(獸骨) 등이다. 토기류는 삼국 시대의 회청색 경질의 개(蓋), 굽다리 접시[고배(高杯)], 호(壺), 긴 목 항아리[장경호(長頸壺)], 장경호 대각(臺角), 컵형 토기, 광구 소호(廣口小壺)[입이 넓은 작은 항아리], 소호, 대부완(臺附盌), 각배(各拜) 등과 적갈색 연질의 개, 고배, 호, 굽다리 항아리[대부호(臺附壺)]의 대각, 자루 달린 항아리[파수부호(把手附壺)], 유공 평저호(平底壺), 발, 파수부 발, 시루, 광구 소호, 소호, 배 등이다.

토제류는 원형 또는 원통형의 그물추[어망추]와 산주형의 가락바퀴[방추차] 및 박자 등이며, 석기류는 지석과 상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청동기 시대의 석부, 유구 석부, 미완성 석기 등이다. 철기류는 도자, 화살촉, 낫이고, 골각기류는 대부분 사슴의 녹각 또는 짐승 뼈를 이용한 도자병이고 일부 화살촉[2점], 고래 뼈를 이용하여 도구를 제작한 작업대와 미완성 골각기 등이다.

[현황]

현재 조개더미의 잔존하는 범위는 추정 길이 33m, 최대 너비 20.6m, 두께 50~200㎝이고, 평면 형태는 남서~북동 방향의 장타원형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부산·진해 경제 자유 구역 내 미음 지구 개발 사업 부지에 속하기 때문에 곧 그 형상이 바뀔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이 소유,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와 구릉 사면부의 해발 30m 이하에 형성된 조개더미는 시기는 다르지만, 낙동강 하류 및 남해안 일대의 구릉 말단부와 소구릉의 정상부, 소곡간의 선상지에 입지하는 신석기 및 삼한·삼국 시대의 조개더미와 동일한 양상을 띠고 있다. 인근의 발굴 조사된 조개더미 유적으로는 신석기 시대의 범방동 패총·김해 수가리 조개더미·농소리 조개더미·동삼동 조개더미 등과 삼한 및 삼국 시대의 창원 성산·가음정동·진해 웅천·용원·김해 회현리·부원동 조개더미 등이 있다. 미음동 분절 조개더미금관가야의 고도(古都)인 김해 및 부산 지역에 대한 고대 문화를 규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용자 의견
배** 美音洞粉切- → 美音洞粉切貝塚

한자명 수정해주세요.
  • 답변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항목명은 한자와 한글을 1대 1로 일치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기하신 의견은 수용할 수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0.07.20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