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631
한자 靑鶴聖堂
영어의미역 Cheonghak Cathedral
분야 역사/근현대,종교/기독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영도구 태종로344번길 6[청학2동 19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홍순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건물|성당
양식 절충주의 양식|조적조+슬래브 지붕|바실리카 형식
소유자 천주교 부산교구 유지재단
관리자 천주교 청학성당
건립 시기/일시 1957년 2월 1일연표보기 - 본당과 유치원, 강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3년 1월 13일 - 사제관과 수녀원 증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7년 5월 14일 - 사무실과 교리실 증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8년연표보기 - 내부 전면 수리
현 소재지 청학성당 -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2동 196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2동에 있는 절충주의 양식의 성당 건물.

[위치]

청학성당(靑鶴聖堂) 건물은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2동 196번지에 위치한다. 영도 순환 도로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한진중공업에서 태종대 방향으로 있다.

[변천]

1957년 2월 1일에 천주교회 부흥위원회[NCWC, National Catholic Welfare Center]의 원조로 성당 본당과 유치원, 강당이 건립되었다. 1973년 1월 13일에는 사제관과 수녀원이 증축되었고, 1987년 5월 14일 사무실과 교리실을 증축하였다. 이후 1998년에 내부의 대부분을 수리하였다.

[형태]

배치 형식이 일정한 규칙을 가지지 못하고 있으며, 축조 당시에 대지의 형태와 주변 조건에 의해 배치가 결정되었다. 공간 구조는 교회의 초기 바실리카[고대 로마 시대 밀라노 칙령 이후 만들어진 교회 건축으로, 로마 시대 당시에는 일반 시민들을 위한 공공건물의 역할을 담당한 건축물을 교회 건축의 모델로 삼아 지음. 공간 구성은 제대 부분, 복도 부분, 신자석 등으로 나뉘며,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구성됨] 형식을 가지고 있다.

규모는 대지 면적 4,159.28㎡, 연면적 416.88㎡, 건축 면적 363.27㎡의 지상 2층 건물이며, 외부는 적벽돌로 치장되어 있다. 현재도 건립 당시의 모습과 디테일을 간직하고 있다. 성전 내부로 들어가면 스테인드글라스 창이 설치되어 있어 분위기가 변화되며, 뒤쪽에 메짜닌 플로어(Mezzanine Floor)[연극 오페라 공연에서 요정 또는 악마의 등장이나 퇴장을 맡은 사람이 머무는 무대 밑의 공간 중 2층 마루]를 구성한 것이 특징적이다.

[현황]

현재 청학성당 건물의 소유자는 천주교 부산교구 유지재단이고, 관리자는 천주교 청학성당이다.

[의의와 평가]

청학성당 건물은 영도구에서 가장 오래된 성당으로, 절충주의 양식의 건축물로서 가치가 높다. 또한 천주교가 영도 지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구심점 역할을 한 성당으로서, 지역의 향토사적 가치가 큰 교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