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부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501
한자 釜牒
영어의미역 Letters from Government Office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편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간행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권책 3책
규격 27.5×60.6㎝
간행 시기/일시 1889년 11월~1890년 12월연표보기 - 제1책 간행
간행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제2책 간행
간행 시기/일시 1895년 1월~1896년 12월연표보기 - 제3책 간행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개항기 부산감리서에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보낸 공문서를 모아 놓은 책.

[저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은 군국 기무 및 외교 통상 문제를 관할할 목적으로 1882년 12월 설치된 정부 기관으로, 1895년 그 기능이 의정부로 이관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부첩(釜牒)』은 개항기 부산항의 외교·통상 업무를 주관하고 있던 부산감리서에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보낸 첩보(牒報) 등을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업무에 참조하고자 모아 편찬하였다.

[형태/서지]

『부첩』은 필사본 3책으로, 크기는 27.5×60.6㎝이다. 1895년 5월까지의 첩정에는 발신인이 감리부산항통상사무(監理釜山港通商事務)‚ 수신인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으로 되어 있으나, 감리서가 폐지된 1895년 윤5월 이후에는 발신자는 동래 군수나 동래부 관찰사 등으로‚ 수신자는 외부대신으로 되어 있다. 문서 명칭도 ‘보고서’로 바뀌고, 기록된 문자도 순한문에서 국한문 혼용으로 바뀌었다. 원본은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각사 등록(各司謄錄)』 51권에도 영인 수록되었다.

[구성/내용]

『부첩』 총 3책 중 제1책은 1889년 11월에서 1890년 12월까지, 제2책은 1894년 1월에서 12월까지, 제3책은 1895년 1월에서 1896년 12월까지의 문서들을 수록하였는데, 문서 말미에는 부산감리서의 각 보고에 대한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의 제음(提音)이 지시되어 있다. 주요 내용으로는 부산항의 외국 조계지의 모습을 지도로 만들어서 보고하거나 조계지 내의 전토 가격 등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등 조계와 관련된 내용이 많고, 부산항 객주들에 대한 영업세 부과, 부산항 화물 창고 증축, 해산 회사 철폐 등 개항기 부산항 상거래와 관련된 내용도 많다.

특히 일본 상인이 경상도에서 미곡을 구입하여 조선의 배로 운반하던 중 풍랑을 만나 큰 손해를 보게 되자 일본에서 이에 대한 배상을 요구한 사건에 관하여 보고한 첩보에는 일본 상인의 피해 상황을 기록한 일본 영사 대리의 조회‚ 배상 문제를 놓고 부산항과 창녕현, 경상 감영 사이에서 오고 간 관문(關文) 등 13건이 함께 실려 있다.

일본 수산 회사 사장과 포경업에 대해 논의한 내용과 어장 침탈 등 수산업과 관련된 내용도 있으며, 표류민 관련 문제도 빈번하게 다루고 있다. 이 외에 부산항의 재정 상황, 관원의 임용과 해임, 입·출항 선박의 세금 및 어선에 부과한 세금‚ 수·출입 물품에 부과된 관세‚ 증명서 발급‚ 감리서의 일상 경비와 직원의 봉급 지불 내역‚ 부산항을 내왕한 선박들의 내역 등 일상적인 업무와 관련된 내용들이 있다.

제2책과 제3책에는 경상도 지역의 동학군을 토벌하기 위해 파견된 일본군의 활동에 관한 내용과 일본군이 전라도 지역에서 동학군을 토벌한 내용들도 있다. 감리서 폐지 이후에 올린 보고서에는 전 감리서의 각종 비용 내역‚ 부산에 있는 기선 회사의 활동‚ 양산군에서 수세 문제로 일본 상인과 분쟁이 일어난 것에 대한 보고‚ 절영도에서의 일본인 토지 매매에 관한 내용 등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부첩』을 통해 부산감리서의 일상적인 업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당시 부산항에서 발생하였던 여러 분쟁 사건의 처리 과정과 부산항 거주 외국인의 동향, 조계의 모습 등을 통해 개항장의 실상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 개항기 상업사 자료로도 활용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