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286 |
---|---|
한자 | 長安里遺物散布地 |
영어의미역 | Area of artifacts in Jangan-ri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 515-1|515-2|516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박세이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장안리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 산포지.
[위치]
장안리 유물 산포지는 상장안 마을에서 장안사 방향으로 약 100m 떨어진 도로 우측 구릉 사이에 오부람터골이라 불리는 계단식 논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8년 부산대학교 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유물 산포지를 확인하였고, 2005년 7월 기장군과 복천박물관이 지표 조사를 실시하여 계단식 논이 끝나는 지점과 구릉 사면이 접하는 곳에서 조선 시대의 사기편을 다량 채집하였다.
[출토 유물]
도장무늬[인화문(印花文). 판인(版印)으로 그림, 꽃, 글씨 등을 눌러 찍거나, 그렇게 찍힌 무늬] 및 귀얄문[거친 빗자루에 백토로 만든 분장토를 칠하여 기물의 표면에 빗자국이 남도록 칠하여 태토와 백토의 붓 자국을 조화시키는 방법] 분청사기편과 초벌구이한 대접이 채집되었다.
[현황]
유적과 경계하여 옆 비탈에 소나무와 잡목들이 우거져 있다. 그 사이에 농로를 내면서 산과 농로 사이가 움푹 패여 들어가면서 토사가 흘러내리고 나무뿌리가 지표면 밖으로 뻗어 나와 수목이 훼손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채집된 유물과 입지 조건을 고려할 때 조선 시대의 가마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