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2235 |
---|---|
한자 | 三聖里- |
영어의미역 | Kiln Site for Roof Tiles in Samseong-ri |
이칭/별칭 | 삼성리 와요지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후동길 163[삼성리 산60]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유우창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기와 가마터.
[위치]
삼성리 기와 가마터는 기장읍과 일광면의 경계로서 기장 향교 너머 북서쪽 얕은 구릉의 사면부에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98년 창원대학교 박물관이 부산~울산 간 동해 고속 도로 예정지에 대한 문화 유적 지표 조사를 실시할 때 기와 가마터임이 확인되었으며, 당시에는 최소 4기 정도의 가마터가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2004년 기장군이 실시한 지표 조사에 따르면 기장 향교의 북서쪽에 있는 백두사로 넘어가는 좁은 길 옆 단애부에 가마터의 단면이 드러나 있는데, 기와편이 중첩된 채로 소량 꽂혀 있어 주로 기와를 생산하였던 가마터로 추정된다.
[현황]
2004년 지표 조사 당시에 이미 삼성리 기와 가마터 인근까지 도로 공사가 진행된 상태였고, 더욱이 2008년 12월 부산~울산 간 동해 고속 도로가 준공되어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 다만 이곳이 가마터였다는 안내판만 세워져 있다. 기장군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명확한 성격을 규명할 수는 없지만, 인근의 비슷한 유적과 비교 연구를 통하여, 조선 시대에 조성된 기와 가마의 구조와 변천 과정, 기와 생산과 소비 및 유통에 대한 내용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