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치화 청덕거사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108
한자 鄭致和淸德去思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Honoring Virtuous Jeong Chhwa’s Beneficient Government
이칭/별칭 부사 정공치화 청덕거사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산72-28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우정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거사비
관련인물 정치화(鄭致和)[1609~1677]|정인학(鄭寅學)
재질 화강암
관리자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09년연표보기 - 정치화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77년연표보기 - 정치화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35년연표보기 - 정치화 동래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642년연표보기 - 정치화 동래 부사 퇴임
현 소재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산72-28

[정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정치화(鄭致和)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정치화[1609~1677]는 숙종 대 좌의정까지 오른 문신으로, 1635년(인조 13)부터 1642년(인조 20)까지 동래 부사를 역임하였다. 정치화 청덕거사비(鄭致和淸德去思碑)는 비석에 9세손인 행부사(行府使) 정인학(鄭寅學)이 공덕을 기리며 을미년(乙未年)에 세웠다고 쓰여 있다.

[위치]

정치화 청덕거사비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산72-28번지 화지산에 있다.

[형태]

비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이수(螭首)는 첨부석으로 위쪽 중앙에서 여러 갈래가 나뉘고 양쪽 끝은 그 갈래가 말려 올라가며 보주형 꼭지가 꼭대기에 얹혀 있다. 받침돌 또한 첨부석으로 가장 위쪽은 양각으로 심엽형(心葉形)이 거꾸로 반만 새겨져 있으며, 나머지 부분은 4개의 잎을 가진 꽃 모양으로 양각되어 있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정공치화 창덕거사비(府使鄭公致和淸德去思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좌측에는 “을미 오월 일 구대손 행부사 인학 건비(乙未五月日九代孫行府使寅學建碑)[9세손 행부사 정인학이 을미년 5월에 세웠다]”라고 되어 있는데, 을미년은 1895년으로 추정되며 우측에 쓰여진 글자는 작아서 읽기 어렵다.

[현황]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화지산을 오르는 등산로 왼편 길가에 있으며,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이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정치화는 부산의 동래 정씨(東萊鄭氏) 출신으로, 조선 후기 동래 부사를 한 인물의 흔적을 통해 지역사 복원에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6.05.18 건립시기 수정 건립시기를 을미년에서 을미면(1895년) 추정으로 수정
이용자 의견
정** “안동 부사(安東府使) 이희원(李喜元), 동래 부사(東萊府使) 정인학(鄭寅學), 문경 부사(聞慶府使) 김정근(金禎根), .........이하생략..........
  • 답변
  •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따라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5.17
정** 금석문
세번째줄의 {을미년의 정확한 연도는 알기 어렵다.}라고 하셨는데 여기서 을미년은 1895년이 아닌지요 세우신분의 아래 승정원일기로 미루어 보아 고종 32년 을미(1895, 개국504)

4월 29일(경오) 맑음

좌목

32-04-29[06] 신병이 있는 안동 부사 이희원 등을 개차할 것을 청하는 내부 대신의 계

○ 내부 대신이 아뢰기를
  • 답변
  •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따라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6.05.1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