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망제인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97
한자 戰亡諸人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the War Dead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정공단로 23[좌천동 473]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태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전망비
크기 56.5㎝[높이]|21~25㎝[너비]
소유자 (사)정공단보존회
관리자 (사)정공단보존회
건립 시기/일시 1766년연표보기 - 건립
보수|복원 시기/일시 2009년연표보기 - 제단 보수
현 소재지 정공단 -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473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군민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경위]

1766년(영조 42) 부산 첨사 이광국(李光國)임진왜란 때 순절한 정발(鄭撥)을 비롯한 여러 사람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 정공단(鄭公壇)이다. 정공단 내 남쪽에 정발을 따라 순절한 여러 군민(軍民)을 위하여 전망제인비(戰亡諸人碑)를 세웠다.

[위치]

전망제인비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473번지 정공단 내에 있다.

[형태]

기단 위에 비석을 세웠으며, 비의 위쪽은 둥글게 마감되어 있다. 비문의 글씨는 해서체이다. 비의 크기는 높이 56.5㎝, 너비 21~25㎝이다.

[금석문]

비석에는 ‘전망제인비(戰亡諸人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다.

[현황]

전망제인비정공단 내에 있는 5기의 비석 중 하나이다. 2009년 4월 제단을 보수하였는데, 당시 옛 제단은 현재 제단의 아래에 원형 그대로 매안(埋安)[신주를 무덤 앞에 묻음]하고 그 위에 제단을 축성하였다. 이들에 대한 제향은 4월 14일 (사)정공단보존회에서 봉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 『부산 금석문』(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 문화재청(http://www.cha.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