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60
한자 李容稙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Yi Yongsik
이칭/별칭 부사 이공용직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7-67[온천동 산17-7]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현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관련인물 비|불망비
재질 비|불망비
크기 비|불망비
관리자 비|불망비
건립 시기/일시 1890년 정월연표보기 - 이용직 영세불망비 건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7년 윤4월연표보기 - 이용직 동래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89년 5월연표보기 - 이용직 동래 부사 퇴임
현 소재지 금강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지도보기
원소재지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개항기 동래 부사 이용직(李容稙)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이용직은 1887년(고종 24) 윤4월부터 1889년(고종 26) 5월까지 동래 부사로 재임하다가 부승지로 승임하였다. 이용직 영세불망비(李容稙永世不忘碑)는 1890년(고종 27) 정월 동래 고을의 향청, 무청, 작청이 주도하여 관민이 건립하였다.

[위치]

원래 안락동사무소 앞에 있던 것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번지 금강 공원임진 동래 의총(壬辰東萊義塚)으로 들어가는 길 오른쪽에 있다.

[형태]

이수(螭首)에는 보주형(寶珠形)의 꼭지가 달려 있고, 중앙에 연꽃무늬가 양각되어 있으며, 양쪽에 좌우 대칭으로 두 개의 나선형 장식이 조각되어 있다. 비의 크기는 높이 146㎝, 너비 45㎝, 두께 12㎝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이공용직 영세불망비(府使李公容稙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와 함께 “3년 동안 정사에 임하셔서 모두 계획한 대로 맞추었다/ 총포와 군사의 기예도 발휘하고/ 성곽과 관아의 역사(役事)도 마무리하였네/ 푸르게 살려 낸 은혜 흡족하고/ 적자(赤子) 보호한 뜻 간절하였네/ 아! 잊을 수 있겠는가/ 이곳에 새긴 비석을 보아라[三載莅政 一副規劃 礮射逞技 城廨完役 惠洽活靑 志切保赤 於乎可忘 視此刻石]”고 적혀 있다.

뒷면에는 “광서 16년 경인 정월 일 향무 작삼청이 세우다. 별포 별장 절충 강위준, 행수 군관 사과 이정원, 면수 전 첨사 이우경, 좌수 유학 문유봉, 이방 김계연, 호장 이상욱, 행수 집사 절충 신명모, 중군 가선 정한영[光緖十六年庚寅 正月 日 鄕武作三廳 立 別砲別將 折衝 姜渭俊 行首軍官 司果 李靖元 面首 前僉使 李雨慶 座首 幼學 文有鳳 吏房 金啓演 戶長 李相旭 行首執事 折衝 辛明鉾 中軍 嘉善 鄭漢榮]”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비신(碑身)의 표면이 깨끗하고 비문의 마모도 거의 없어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청에서 관리한다.

[의의와 평가]

이용직 영세불망비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