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2005
한자 永報壇碑
영어의미역 Stone Monument for Yeongbodan Altar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59번길 28-7[복천동 산2-2]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기념비
양식 석비
재질 석재
크기 107㎝[높이]|50㎝[너비]|12㎝[두께]
소유자 동래기영회
관리자 동래기영회
건립 시기/일시 1915년연표보기 - 건립
현 소재지 복천박물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산2-2지도보기
원소재지 복천박물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산2-2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에 있는 일제 강점기 동래 읍민들이 일제의 정책에 항거한 일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909년(순종 3) 일제가 호적 대장을 거두어들이려고 하자 동래 사람들은 조상들의 성명이 적힌 호적 대장을 함부로 내어 줄 수 없다며 동래 지역 13개 면 호적 대장을 모아서 마안산 기슭에서 태운 뒤 그 자리에 단을 쌓고 영보단(永報壇)이라 하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1915년 비를 세웠다.

[위치]

영보단비(永報壇碑)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복천박물관에서 동쪽 고분군으로 가는 구름다리 어귀에 세워져 있다. 소재지 주소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산2-2번지이다.

[형태]

비석은 방형(方形)의 대석(臺石) 위에 시멘트로 부착시켰으며, 이수(螭首) 없이 상단을 반월형으로 둥글게 처리하였다. 비의 크기는 높이 107㎝, 너비 50㎝, 두께 12㎝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영보단(永報壇)’이라고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을묘 사월 일 군민 공립(乙卯 四月 日 君民共立)[을묘년 4월 군민이 함께 세움]”이라고 되어 있다.

[현황]

복천박물관 내에 세워져 있으며, 매년 음력 4월 23일 동래기영회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영보단비는 일제 탄압에 맞서 싸운 동래 읍민의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07.30 항목 중복 영보단비와 항목 중복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