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981
한자 成遂默永世不忘碑
영어의미역 Memorial Tablet of Seong Sumuk
이칭/별칭 부사 성공수묵 영세불망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7-67[온천동 산17-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은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비|불망비
양식 석비
관련인물 성수묵(成遂默)
재질 대리석
크기 161㎝[높이]|47㎝[너비]
소유자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관리자 부산광역시 동래구청
건립 시기/일시 1839년 5월연표보기 - 건립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792년연표보기 - 성수묵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850년연표보기 - 성수묵 사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37년 4월연표보기 - 성수묵 동래 부사 부임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39년 11월연표보기 - 성수묵 동래 부사 퇴임
현 소재지 금강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지도보기
원소재지 금강 공원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조선 후기 동래 부사 성수묵(成遂默)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건립 경위]

1837년(헌종 3) 4월 동래 부사에 부임하여 1839년(헌종 5) 11월 교체된 성수묵[1792~1850]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위치]

성수묵 영세불망비(成遂默永世不忘碑)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산17-7번지 금강 공원임진 동래 의총(壬辰東萊義塚) 앞에 세워져 있다.

[형태]

비의 재질은 대리석이며, 비좌(碑座) 위에 비신(碑身)을 올리고 개석(蓋石)은 구름모양, 연꽃, 옥개 등이 혼합되어 있는데, 비좌 하엽(碑座荷葉)의 변형된 형태인 듯하다. 비의 크기는 높이 161㎝, 너비 47㎝이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는 ‘부사 성공수묵 영세불망비(府使成公遂默永世不忘碑)’라는 비제(碑題)가 적혀 있고, 뒷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 “공이 동래에 부임해 온 것은 정유년[1837] 늦은 봄이었다. 창고를 열어 곤궁한 백성들을 먹여 살렸고, 나락 급료 본전 놓기 등이 병폐가 된 지 오래더니 따로 천 냥의 돈을 마련하여 둔전을 설치하여 그것을 고쳤다. 좌수영 무관 시험에 가려는 자가 없어서 상사(上司)에게 보고하여 읍에서 방(榜)을 주관하였다.

부산진의 급료 배당을 흉년이 되어 대기 어렵게 되자 연도를 한정하여 조처할 것을 청하여 폐단을 해결하였다. 어민들의 고기 잡는 비용을 유지하게 하였다. 변방 성채가 무너져서 엉성하게 되자 천금을 출연하여 새롭게 고쳐 놓았다. 여섯 가지 정사(政事)가 이렇게 부흥되자 온 경내(境內)가 소생하였다. 공이 조정으로 돌아가자 남기신 은혜를 잊지 못해 돌에 새겨 기록할 것을 청하여, 그 대강을 삼가 적어 둔다.

도감 곽필원·김형진·박재순, 감관 정석헌·박지연, 책응 구봉상·이진호·윤사훈. 숭정 기원 후 네 번째 기해년[1839] 5월 일 무청 각 청에서 세움[公之苙府 丁酉歉春 捐廩而賑 濟活窮民 羅料放本 痼瘼已久 別備千緡 設屯矯救 左營武試 人無願往 申報上司 自邑主榜 釜鎭排料 遇荒莫繼 限年請劃 以捄其弊 海戶漁錢 殉債館供 添給三面 買土支用 邊堞頽圯 未免疎虞 千金出捐 一新改圖 六政斯擧 闔境其蘇 公車還朝 不忘遺澤 勒石請記 謹述其略 都監 郭必元 金亨進 朴在淳 監官 鄭碩憲 朴志演 責應 具鳳祥 李晉浩 尹師勛 崇禎紀元後四己亥 五月 日 武各廳立].”

[현황]

성수묵 영세불망비금강 공원 내에 세워져 있어 시민들이 접근하기 쉽다. 부산광역시 동래구청이 소유하여 관리를 하고 있는데,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성수묵 영세불망비는 동래 부사의 임무와 성수묵의 활동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 『부산 금석문』(부산광역시·경성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2)
  •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http://people.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