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918 |
---|---|
한자 | 金得福墓 |
영어의미역 | Tomb of Gimdeukbok |
이칭/별칭 | 절충장군 김해 김공 휘득복 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산5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미욱 |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득복(金得福)의 묘.
[개설]
김득복 묘(金得福墓)는 그의 아버지 김산수(金山壽) 묘와 함께 나란히 있다. 김득복은 아버지와 함께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아 전공을 세워 선무원종일등공신에 책록되었다.
[위치]
김득복 묘는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대변리 산5번지에 있다. 대변에서 죽성으로 가는 해안 도로 변 월전 마을에 다다르는 지점의 낮은 언덕에 위치한다.
[변천]
1976년 큰 석재로 둘러쌓고 사이사이에 시멘트를 이겨 넣었다. 2000년 김해 김씨(金海金氏) 문중에서 제단과 기문을 새로 세우고 정비하였다.
[형태]
동해를 바라보는 언덕 자락에 3단으로 축대를 조성하고 각 단마다 1기씩, 총 3기의 분묘가 동향(東向)하고 있다. 위에서부터 차례로 김산수, 정부인 현풍 곽씨(玄風郭氏), 김득복의 묘가 위치한다. 분묘의 왼쪽 오석(烏石)에 비문을 새겨 놓았다.
[금석문]
비의 앞면에 ‘절충장군 행상호군 증가선대부 동지돈녕부사 김해 김공 휘득복지묘 배 증정부인 현풍 곽씨 동원(折衝將軍 行上護軍 贈嘉善大夫同知敦寧府事 金海金公諱得福之墓 配贈貞夫人玄風郭氏 同原)’이라고 적혀 있다.
[현황]
문화 유적 관리 번호 제1012-31-066호이다.
[의의와 평가]
김득복 묘를 통해 조선 시대 분묘의 형태를 잘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