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795 |
---|---|
한자 | 朴璨鉉 |
영어음역 | Bak Chanhye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경제·산업,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하유식 |
[정의]
부산 출신의 정치인.
[개설]
박찬현(朴璨鉉)은 1917년 9월 23일 부산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부인 이정숙(李楨淑)과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활동 사항]
박찬현은 부산제2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메이지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 미주리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일제 강점기 만주 봉천성에서 농장을 경영하였으며, 경남경찰국 보안과장을 역임하였다. 해방 후 1947년 5월부터 1947년 10월까지 밀양경찰서 서장을 역임했고, 부산수상경찰서 서장과 제7관구 경찰청 공안과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 의원 총선거 때 무소속으로 부산 정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4대와 제5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부산진 을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1년 5월에 교통부 장관에 임명되었지만, 5·16 군사 쿠데타로 보름만에 물러났다. 1963년 9월 ‘국민의당’ 간사장에 선출되었다. 1970년 제헌 국회 의원의 모임인 정우회 회장과 1973년 유신정우회 국회 의원을 지냈다.
1972년 11월 제헌동지회의 일원으로 10월 유신을 적극 지지하는 성명서에 서명하고 동참하였다. 1977년 12월부터 1979년 12월까지 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 외에도 동아대학교 국제사법 교수, 부산일보사 사장, 부산여자대학 학장, 외국어대학교 교수, 보건사회부 차관, 경향신문 사장, 주터키 대사, 주인도 대사, 한·인도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82년 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0년부터 세종대학교 재단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91년 9월 24일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자신의 영문 대학원 학위 논문을 우리말로 옮겨 1976년 『한국 국회와 미국 국회의 비교』를 펴냈다. 1982년 애덤 스미스(Adam Smith)의 『페이퍼 머니』[대한교과서주식회사]를 번역 출판했고, 1986년에는 아우렐리오 페체이(Aurellio Peccei)의 저서 『미래를 위한 1백 페이지』를 『벼랑에 선 인류』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했으며, 1987년에는 유겐 클라이너 주한 서독 대사의 연설문 「독일 내의 양독 관계」를 번역하였다.
[묘소]
묘소는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신덕리 천안 공원묘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