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성역 절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640
한자 城役節目
영어의미역 Regulation Clause for Castle Constructi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장명희

[정의]

개항기 동래부사 정현덕(鄭顯德)이 동래부 읍성을 개축한 뒤 읍성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정리한 규정.

[개설]

동래부사 정현덕은 종래 수령이 관내 성곽이 무너졌을 때 관례적으로 보수하던 것과 달리, 관방 시설을 강화하는 일환으로 1870년(고종 7) 12월부터 대대적으로 읍성을 수축(修築)하는 공역(工役)을 일으켰다. 그리고 공역을 마친 뒤 읍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재원을 마련하고 노동력을 징발하는 방식 등 규정을 정리하여 성역 절목(城役節目)을 마련하였다.

[제정 경위 및 목적]

동래부 읍성은 관방 시설로서, 그 관리는 동래부사의 중요 업무 중 하나이었다. 임진왜란 당시 완전히 무너진 동래부 읍성은 1731년(영조 8)과 1859년(철종 10), 1870년(고종 7), 1892(고종 29) 네 차례에 걸쳐 크게 개축되었다. 1867년(고종 4)부터 1874년(고종 11)까지 7년간 동래부사의 직을 수행한 정현덕은 재임 기간 중 관청 및 읍성을 전면적으로 수축하는 공역을 일으켰다.

1869년(고종 6) 동래부 동헌을 비롯한 관청 건물을 수리하였고, 1870년 12월부터는 읍성 수축에 들어갔다. 축성 역(築城役)은 동문·서문·암문(暗門)·북문·인생문(人生門)·남문의 6개 문루(門樓)를 수리하는 일과 제1치(稚)부터 제30치까지 읍성의 30개 치성(稚城)을 나누어 수리하는 일로 진행되었다. 이 역사를 마친 뒤 차후 읍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성역 절목을 마련하였다.

[관련 기록]

『성역 급 각 공해 중수기(城役及各公廨重修記)』는 1869년 11월 23일부터 1871년(고종 8) 12월 1일까지의 동래부의 읍성 및 각 공해(公廨)의 중수에 관한 기록으로 축문(祝文), 원납인(願納人)의 성명과 원납액(願納額), 공해의 칸수, 성역비(城役費)의 각 동(洞) 징배(徵配), 미전 절목(米廛節目), 기생방 절목(妓生房節目)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성역 절목『성역 급 각 공해 중수기』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동래부 읍성의 유지, 보수를 위해 일정한 재원을 확보하고 이를 읍내면의 각 리에 분급하여 취식 보용(取殖補用)[그 이자를 취해 비용으로 쓰는 것]하도록 결정하였다. 이를 수축의 비용으로 삼아 담당 구역의 여장(女牆)[성가퀴]을 수리할 때마다 자체적으로 운용하라고 분부하였다. 체성(體城)이나 옹성(壅城)처럼 많은 노동력이 드는 공정은 전처럼 동래부에서 주관하여 모군(募軍)을 고용해 임금을 주고 사역하되, 많은 인력이 소모되지 않는 여장의 수리만큼은 담당 구역별로 민간에 책임을 지우려 한 것이다.

당시 읍내면은 동부(東部) 13리(里)와 서부(西部) 11리를 포함해서 모두 1,499호가 거주하고 있었다. 읍성의 둘레는 3,197보이었는데 1보에 전(錢) 1량씩, 도합 3,197량을 각 동(各洞)에 나누어 주었다. 동전(洞錢)의 기금은 각 동 내에서 소규모의 성역을 일으킬 때 모군의 품삯을 조달하는 재원이 된다. 각 동에 주어진 기금은 주민의 희망에 따라 식리전(殖利錢)으로 운영해 이자를 보태든가, 동답(洞畓)을 사들여 지주 경영을 통해 지대 수입을 확보하여 뒷날 모립(募立)의 재원으로 삼으라는 것이었다.

18세기 초엽 이후의 동래부에서는 축성 역을 위하여 인근 군현의 장정을 징발하는 일은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수리에 들어간 비용 가운데 고가(雇價)를 지불할 때는 동래부의 소관 책임자인 수성청(守城廳)의 별장(別將)과 해당 각 동의 두령(頭領)이 함께 관리하여 함부로 남용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변천]

1892년 축성 역에서 단기간의 사역에 연군을 다시 징발한 경우가 있기는 하였지만 이는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다. 19세기 이후 동래부에서 이루어진 모든 축성 역은 주로 모립제의 노동력 조달 방식에 의해 진행되었다.

[의의와 평가]

성역 절목은 조선 후기 관방 시설의 축성을 위해 노동력을 동원하는 방법, 재원을 확보하는 방법 등에 관한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