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579
한자 朴世鉉
영어음역 Bak Sehyeon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차성로299번길 50-2[서부리 16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박선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명정의숙 교장
출생 시기/일시 1897년연표보기 - 출생
활동 시기/일시 1913년 - 명정의숙 교장으로 선임
활동 시기/일시 1914년 - 기장광복회 조직
활동 시기/일시 1917년 - 기장광복회 사건으로 검거됨
몰년 시기/일시 1917년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3년 8월 15일연표보기 - 건국 훈장 애족장 추서
출생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163
활동지 명정의숙 - 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활동지 기장광복회 - 부산시 기장군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가계]

아버지는 박재하(朴載廈)이다. 일제 강점기 부산과 일본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박세용(朴世用)이 사촌 동생이다.

[활동 사항]

박세현(朴世鉉)[1897~1917]은 1897년 8월 3일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163번지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박세현은 1913년 경상남도 동래군 기장면에서 지방 유지였던 권상중(權商重) 등이 세운 명정의숙(明貞義塾)의 교장을 맡아 여성 계몽 등의 활동으로 지역의 후진 양성에 나섰다. 학생들에게 애국의 노래 「숙가(塾歌)」를 지어 주어 애국심을 높이는 등 많은 활동을 하였다. 이는 뒷날 기장여자청년회 출신이 3·1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나아가 8·15 광복 후에도 기장 여성들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박세현은 1914년 김약수(金若水)와 함께 항일 운동 단체인 기장광복회를 조직하여 회장을 맡은 김약수와 함께 총무로 활동하였다. 독립운동 자금의 모금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던 기장광복회는 1917년 8월 일본 경찰에 발각되고 말았다. 다행히 회장인 김약수는 피신하였으나, 박세현은 체포되어 모진 고문을 받았다. 박세현이 끝까지 실토하지 않아 기장광복회의 많은 동지들이 화를 면하였지만 박세현 자신은 결국 고문으로 인해 1917년 부산감옥소에서 옥사하였다. 박세현 교장을 잃은 명정의숙 학생들은 1919년 기장의 3·1 운동에 참여하여 격렬하게 항일의 투지를 토해냈다.

[상훈과 추모]

1993년 8월 15일에 건국 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