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패인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514
한자 沛仁樓
영어음역 Paein-ru
영어의미역 Paeinru Pavil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529번길 38-5[다대동 181]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조영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누각
건립 시기/일시 1490년경연표보기 -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589년경연표보기 - 개축
현 소재지 패인루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81

[정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던 조선 전기 다대포성 동문 위의 누각.

[개설]

조선 초기에는 다대포진(多大浦鎭)이 장림포(長林浦)에 있었는데, 현재의 다대포로 옮기면서 본격적인 축성이 있었다. 다대포성(多大浦城)은 1490년(성종 21) 11월 석성으로 축조되었는데, 서문을 영상루(迎爽樓), 남문을 장관루(壯觀樓), 북문을 숙위루(肅威樓)라 하였으며, 본 동문은 패인루(沛仁樓)라고 하였다. 1589년(선조 22)에 남아 있는 성터가 보수 증축되었는데, 임진왜란으로 파괴되었다가 성이 다시 개축된 것이다. 1895년(고종 32)의 기록에는 둘레가 1,918척[592m]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는 성터로 보아 이후 어느 시기에 몇 차례에 걸쳐 보수 개축된 것이다.

[위치]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81번지다대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성터가 남아 있는데, 패인루는 그 동쪽 출입구에 해당한다.

[변천]

패인루는 1490년경에 건립되었다. 이후 패인루가 언제 다시 개축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1589년 다대포성을 다시 신축하였을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다대포 성터의 규모는 둘레가 584m[1,806척], 높이가 4.2m[13척]로, 4대문 중 동문이 패인루이다. 동문에서 동헌(東軒)인 수호각으로 들어가며, 그 주변에 군기소(軍器所)인 청상루, 금산소, 목소, 공방소, 도훈도소 등의 관아 건물과 대동고, 유포고, 진창 등의 창고가 있었다.

[현황]

현재 패인루가 있던 곳은 도시화로 파괴되어 유구가 남아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다대진성(多大鎭城)은 조선 초기 경상 좌도 부산포진 관하의 수군 진성으로서 낙동강 일대 해안 방어의 최일선에 해당되며, 동문인 패인루는 성을 출입하는 관문의 역할을 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