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1212 |
---|---|
한자 | 釜山甲寅會 |
영어음역 | Busan Gabinhoe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차철욱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에 있었던 일본인 정치 단체.
[설립 목적]
조선총독부 초대 총독인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內正毅]는 조선을 병합한 이후 조선에 있던 11개 지역의 일본인 자치 기관인 거류민단을 철폐하였다. 이에 각 지역 거류민단은 연합 협의회를 만들어 진정서와 결의문을 제출하는 등 총독부의 자치 기관 철폐에 대해 반발하면서, 기존 자치 제도의 존속과 여의치 않을 경우 지방 사정에 따른 조선인 일본인 합동의 자치제 시행을 요구하였다. 부산에서도 부산거류민단역소의 마지막 간부와 같은 시기 학교 조합 의원 등이 1914년 부산부제 실시에 따라 자치 기관인 민단의 해체에 항의하여 1914년 3월 31일 부산갑인회를 결성하였다. 갑인회(甲寅會)의 명칭은 결성하던 해가 갑인년이었기 때문이다.
[변천]
조선총독부는 1914년 4월 1일부터 거류민단 및 거류지 제도를 철폐한 대신 부제(府制) 실시와 함께 관선 협의회원 제도를 만들어 지역 유력자인 일본인들에게 부정(府政)에 참여할 기회를 줌으로써 기존 자치 제도의 형식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자치제 요구는 끊이지 않았으며, 부산의 갑인회 역시 1920년대 말까지 거류민단 시절의 완벽한 자치제의 부활, 혹은 부산 등 대도시만의 ‘특별 자치제’ 실시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1930년의 지방 제도 개정으로 자문 기관이었던 부산부협의회가 부산부회라는 이름으로 의결 기관이 되면서, 부산갑인회의 자치제 요구도 흐지부지 되었으며, 부산갑인회 역시 그 활동이 줄어들어 어느 순간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부산갑인회의 모태는 과거 거류민단 의원들로서 상공인들이었다. 중심인물은 거류민단장이었던 대지충조(大池忠助)를 비롯하여 부산의 3대 부자에 포함된 박간방태랑(迫間房太郞), 향추원태랑(香椎源太郞) 등 경제인들이 대부분이었다. 부산갑인회의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명확히 확인할 수 없으나, 매월 3일 모임을 갖고, 공공 문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다. 또 1920년대까지 꾸준히 자치제 부활을 위한 연설회 혹은 홍보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조선총독부가 마지막 민단 의원에게 기념품 증여비로 1,200원을 주자, 부산갑인회는 보조금 전부를 투입하여 『부산사』 편찬을 기획하고, 오랫동안 기념하기 위해 1915년 12월 『일선 통교사 부부산사(日鮮通交史 附釜山史)』를 고대기와 근대기로 나누어 각각 1권씩 출판하였다.
[의의와 평가]
부산갑인회의 활동은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의 유력자였던 일본인들의 식민지 인식, 즉 조선인과 일본인 간의 동화를 이야기 하면서도 행정 체계에 있어서 조선인과는 달리 자신들만의 자치제를 향유하고자 했던 차별적 인식을 잘 보여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