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610
한자 朝鮮總督府
영어의미역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배석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 기관|행정 관청
설립 시기/일시 1910년 8월 29일연표보기 - 조선총독부 설립
해체 시기/일시 1945년 8월 15일 - 조선총독부 해체
최초 설립지 조선총독부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 2-1
주소 변경 이력 조선총독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1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 지역을 관할한 식민 지배 최고 통치 기구 .

[개설]

조선총독부는 일제가 1910년 8월 29일 이른바 「한일합병조약」의 발표와 함께 「조선총독부 설치에 관한 칙령」을 제정한 것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경성에 이어 조선의 2대 도시이자, 조선 최대의 식민 도시라는 명성에 걸맞게 조선총독부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높은 위상을 차지하였다.

[설립 목적]

조선총독부는 일제가 한국의 국권을 강제로 빼앗고 식민지로 통치하기 위해 설립하였으며,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관제」 공포로 그 전모를 갖추었다.

[변천]

조선통감부를 계승한 조선총독부는 일제 강점기 말 전시 체제가 되면서 전쟁 수행을 위한 내외지(內外地) 행정 일원화, 행정 간소화의 추진 등을 통해 중앙 행정 조직을 통합하는 등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그러나 식민지 통치 기관으로서의 조선총독부의 전체적인 위상과 성격, 그리고 도·부·군·면으로 구성되는 지방 행정 조직 체제는 큰 변화가 없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과 더불어 조선총독부는 해체되었고, 그 산하의 부산부 역시 부산시로 전환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통치 기관이었으므로 일정하게 정부 조직체를 갖추었다. 중앙 행정 조직으로 총독을 보좌하는 정무총감과 총독관방, 내무부, 탁지부, 농상공부, 사법부를 두었다. 지방 행정 조직은 도[13개]·부[12개]·군[317개]·면[4,338개]으로 조직되었다. 사법 기구로 재판소[고등법원·검사국]와 감옥, 치안 기구로 경무총감부[서무·고등경찰·경무·보안·위생과]가 있었고, 각도에 경무부가 설치되었다.

경성과 용산, 평양과 나남에는 육군 2개 사단이 주둔했고, 영흥만과 진해에는 군함과 해군 병력이 배치되었다. 조선총독부는 3·1 운동 이후 문화통치로의 전환을 선전했지만, 군사력과 경찰력을 기반으로 한 무단 통치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지는 않았다.

부산은 1914년 부제(府制)의 실시로 ‘부산부’가 된 이래, 1925년 경상남도청의 소재지가 되었고, 1942년 동래읍을 병합하는 등 조선총독부 아래의 지방 행정 기구 중에서도 중요한 위상을 점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중앙 행정 관서 중 수역혈청제조소, 이출우검역소(移出牛檢疫所), 수산시험소 등 무역·수산 관련 기관이 위치하였다.

부산과 조선총독부와의 관계에서 크게 쟁점이 되었던 사례로 1914년 부제 시행을 앞두고 부산 지역의 일본인들이 이 행정 조치에 반발하며 자치제를 요구한 일을 들 수 있다. 부산은 조선 후기 대일 무역의 유일한 창구였던 왜관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식민 도시로, 병합 훨씬 전부터 식민지 건설의 기반을 조성하였던 자신들이 조선인들과 같은 제도 아래 놓이게 되는 것에 대한 반감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조선 전체의 통일적 행정을 추구하지 않을 수 없었던 조선총독부는 이러한 일본인들의 요구를 뿌리치고 부제 시행을 강행하였다. 그러나 이후 부산부의 행정은 유력자인 일본인 중심으로 이루어져, 조선인·일본인의 차별이 일제 강점기 말까지 개선되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의의와 평가]

20세기 전반기 한반도를 통치했던 식민지 권력 기관인 조선총독부는 일제 강점기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위해서 필히 객관적이고 엄밀한 역사 분석이 필요한 대상이다. 조선총독부에서의 부산부의 위상 또한 지역사 연구의 주요 주제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