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1201
한자 煙臺峰烽燧臺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in Yeondae Mountain
이칭/별칭 연대 봉수대,천성 봉수대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서천로42번길 52-123[천성동 산6-1]
시대 고려/고려 전기
집필자 이정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봉수대
크기 약 8.5m[동서 직경]|약 9m[남북 직경]
관리자 부산광역시 강서구청
조성|건립 시기/일시 1127년~1173년 - 건립 추정
폐지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폐지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6년 4월 26일연표보기 - 강서구청에서 복원
현 소재지 연대봉 -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산6-1지도보기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 있는 고려 시대의 봉수대.

[개설]

봉수는 횃불을 뜻하는 봉(烽)과 연기를 뜻하는 수(燧)를 말하는데, 대략 수십 리 간격으로 바라보고 살피기 좋은 산꼭대기 요지에 봉수대를 설치하여, 밤에는 횃불을 올리고 낮에는 연기를 피워 중앙 또는 변경 기지에 급보를 알리던 통신 방법이다. 봉수에는 5개 경로가 있고, 그 종류는 경봉수(京烽燧), 내지 봉수(內地烽燧), 연변 봉수(沿邊烽燧)이다. 연대봉 봉수대는 북쪽으로 생곡동(生谷洞)의 성화례산 봉수, 서쪽으로 진해시 웅천동(熊川洞)의 사화랑 봉수에 응한 연변 봉수이다. 또한 연대봉 봉수는 천성진(天城鎭)과 가덕진(加德鎭)을 방비하며, 대마도(對馬島) 방면에서 출몰하는 왜구를 감시하였다. 고려 시대 왜구의 침입이 많아지면서 이들을 감시하기 가장 좋은 위치로 주목받아 고려 의종(毅宗) 대를 전후하여 설치되었으며, 1894년(고종 31) 전국의 봉수대가 폐지되면서 함께 폐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위치]

연대봉 봉수대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 산6-1번지에 있는 가덕도 연대봉 정상에 위치한다.

[형태]

지상에 땅을 고르고 축조한 동서 직경 약 8.5m, 남북 직경 약 9m의 평면 원형의 구조이다. 또한 북쪽의 기단 석축 안쪽으로 150㎝ 지점에 남아 있는, 높이가 1m인 석축으로 된 직경 약 2m의 불을 직접 피운 연소부도 확인되었다. 연소부의 바닥 전면에는 얇은 판석을 깔았던 것으로 보이며, 안쪽의 원형 연소부를 먼저 축조한 뒤 원형의 기단 외벽을 축조하였다. 한편 봉수대의 남쪽 20m 아래 지점에 가로 3.5m, 높이 약 1m의 낮은 둔덕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 하단에 3~4단의 석축이 남아 있다.

[현황]

1996년 4월 26일 강서구청에서 복원하여 연대봉 봉수대 모형을 만들었다.

[의의와 평가]

부산 지역 봉수대의 형태와 봉수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8.03.05 명칭 수정 연대산(煙臺山) -> 연대봉(煙臺峰)
이용자 의견
전** 가덕도 주민 입니다. 가덕도에는 연대산이 없고 연대봉이 있을 뿐입니다. 천성동 산 6-1번지는 천성산 연대봉 입니다.
  • 답변
  • 부산역사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귀하의 소중한 의견을 검토하여 해당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이용 부탁드립니다.
2018.03.0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