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891
한자 裵文漢
영어음역 Bae Munhan
이칭/별칭 도미니꼬
분야 종교/기독교,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종교인
지역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길 262[생곡동 272]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상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종교인
성별
본관 분성(盆城)
대표경력 수원가톨릭대학 학장
출생 시기/일시 1934년 8월연표보기 - 출생
수학 시기/일시 1973년 - 로마 우르바니아나대학교 대학원 졸업
활동 시기/일시 1973년 - 수원가톨릭대학 학장에 임명
몰년 시기/일시 1994년 8월 5일연표보기 -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96년 9월 1일 - 생가에 추모비 건립
출생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272
학교|수학지 우르바노대학 대학원 - 이탈리아 로마
활동지 수원가톨릭대학 - 경기도 수원시
묘소 미리내 성인 묘역 -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 미산리
추모비 배문한 도미니꼬 사제와 생가 -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272지도보기

[정의]

부산 출신의 천주교 신부.

[가계]

본관은 분성(盆城). 세례명은 도미니꼬. 1934년 8월 경상남도 김해군 녹산면 생곡리 272번지[현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272번지]에서 아버지 배종진(裵鐘璡)[베네딕토]과 어머니 허복수(許福守)[마리아]의 아들 3형제 중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생곡은 분성 배씨(盆城裵氏) 집성촌으로, 배문한의 집안은 증조부 배정문(裵禎紋)[정3품 통정대부] 때부터 서학, 곧 천주교를 믿었다. 생가에는 현재 형인 배대한(裵大漢)[농학 박사]이 거주하고 있다. 생가 뒤편에 순교자 조석빈, 조석증 형제의 묘를 천주교 부산교구에서 발굴하여 능원을 조성한 생곡 형제 순교자 묘가 있다.

[활동 사항]

배문한(裵文漢)은 1960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대학원을 졸업한 후, 1961년 서울가톨릭대학에 입학하였다. 1964년 이탈리아 로마 우르바노대학으로 유학하여 1970년 교황 바오로 6세에게 사제품을 받았다. 1973년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귀국 후 천주교 수원교구 여주본당의 주임 신부가 되었다. 그 후 광주가톨릭대학 교수, 천주교 수원교구 서정동본당 주임 신부, 수원가톨릭대학 학장 및 초대 대학원장을 역임하였다. 1994년 8월 5일 강원도 삼척시 인근 바닷가에서 물에 빠진 신도 3명을 구하고 선종하였다.

[저술 및 작품]

유고집으로 『꿈보다 현실이 아름답다』[진미디어, 1994], 『여러분 훌륭한 사제가 되십시오』[남양성모성지출판부, 2002], 『나는 오롯이 당신 것』[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8] 등이 있다.

[묘소]

배문한의 묘소가 있는 미리내 성인 묘역은 한국 최초의 사제 김대건 신부 묘가 있는 곳이다. 이곳에는 16위의 무명 순교자 묘와 수원 교구 성직자 묘소, 수원 교구 2대 교구장 김남수 주교의 묘소, 평생을 한센병 환우들과 함께 동고동락하며 헌신한 이경재 신부의 묘소 등도 함께 있다.

[상훈과 추모]

1996년 9월 1일 생가에 2단의 석재 구조물로 ‘배문한 도미니꼬 사제와 생가’라는 이름의 추모비를 세웠다. 윗부분에는 배문한의 유필을, 아랫부분에는 약력을 새겼다. 후면에는 이해인과 배달순의 추모 시가 있다. 전면 상단의 유필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순교의 피가 흘러 흘러 나를 신자 되게 하고, 순교의 한이 맺혀 맺혀 나를 사제 되게 하였도다. 1989. 5 배문한 신부”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