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도 읍지』 「기장현 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881
한자 慶尙道邑誌機張縣地圖
영어의미역 Map of Gijang-hyeon in Gyeonsang-do Eupji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기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지도
서체/기법 채색 필사
관리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제작 시기/일시 1832년연표보기 -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832년 편찬된 『경상도 읍지』에 삽입된 기장현을 그린 군현 지도.

[형태 및 구성]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 「기장현 지도(機張縣地圖)」는 채색 필사본으로 크기는 가로, 세로 35.0×22.6㎝이다. 『경상도 읍지(慶尙道邑誌)』의 저본은 1786년경에 편찬된 경상도의 각 군 읍지로 여겨진다. 읍의 지리에 대한 파악이 이전의 『여지도서(輿地圖書)』보다 훨씬 상세하고 지도 내용도 충실하다. 『경상도 읍지』 「기장현 지도」의 경우 『여지도서』와 같이 동서가 남북보다 길게 표현되어 있다. 산은 줄기를 바탕을 실경으로 그려졌으며 연한 녹색으로 채색하였다. 바다도 청색 해파묘를 사용하여 실감 나게 묘사되었다. 읍치는 붉은색 원에 황색으로 주변을 그렸다. 읍치로부터 장소를 잇는 도로는 붉은색 선으로 그렸다. 사찰 등의 주요 건물은 실경으로 표현하였다.

[특징]

『경상도 읍지』 「기장현 지도」에는 『여지도서』의 부도에 비하여 훨씬 많은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 면 지명으로 하서면·남서면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 기장현에는 1831년 이전에 읍내면·동면·남면·상서면·하서면·하미면의 6개 면이 있었으며 한말에 이르러서는 읍내면·동면·상서면·하서면·상북면·중북면·하북면이 있었다. 읍치의 동쪽에 향교가 묘사되어 있는데,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고, 1617년(광해군 9) 기장현의 유림들이 중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성전을 비롯해서 신삼문, 명륜당, 동재, 서재, 풍화루, 세심문 등 7동의 건물이 남아 있다.

봉수대로 남산 봉수와 아이 봉수가 묘사되어 있다. 기장읍 죽성리에 소재한다. 남산 봉수대를 남산 연대(南山煙臺)라고도 하였는데 전국 봉수로(烽燧路) 가운데 제2로(路)에 속하였다. 남산 봉수대가 직접 연결되는 곳은 남쪽으로는 해운대간비오산(干飛烏山) 봉수대, 북쪽으로는 직선거리로 약 10.5㎞ 떨어진 장안읍 임낭리(林浪里) 뒷산의 임낭포 봉수대였다. 임낭포 봉수대가 없어진 뒤에는 직선거리 약 48㎞ 떨어진 일광면 이천리의 아이포(阿爾浦) 봉수대와 연결되어 오다가 1894년 갑오경장에 폐지되었다. 산 지명으로 불광산, 취봉산, 장안 봉산, 백운산, 영림 봉산이 기재되어 있다. 시랑대, 태정대, 용두대 등과 함께 해안에는 죽도가 있다. 읍성의 경우 위치만 간단히 표현되었다.

[의의와 평가]

『경상도 읍지』 「기장현 지도」는 1832년 당시 기장현의 읍치와 지역 구조를 파악 할 수 있는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