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남도 사회사업 시설 개요』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868
한자 慶尙南道社會事業施設槪要
영어의미역 Overview of the Social Project Infrastructure in Gyeonsangnam-do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51-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간행자 경상남도
표제 경상남도사회사업시설개요(慶尙南道社會事業施設槪要)
간행 시기/일시 1931년 7월 15일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 51-1]지도보기
간행처 경상남도 -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1

[정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내 각종 사회 시설 홍보 책자.

[편찬/간행 경위]

『경상남도 사회사업 시설 개요(慶尙南道社會事業施設槪要)』는 경상남도에서 1931년까지 행한 각종 사회사업과 그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업적을 홍보할 목적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1931년 7월 15일 경상남도에서 간행하였으며, 1931년 7월 부산부에 기증하여, 현재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형태]

총 107쪽의 분량이며,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경상남도의 주요 사회 시설이 소개되어 있는데, 대부분 부산 지역에 소재한 것이고, 마산과 진주, 통영, 진해 지역의 시설도 일부 소개되어 있다. 구체적 내용은 직업 소개 및 인사 상담, 복리 사업, 공동 식당과 공동 숙박소, 인보 사업(隣保事業), 면수 보호 사업(免囚保護事業), 궁민 구조 사업(窮民救助事業), 시약 구료 사업(施藥救療事業), 보건 위생 시설, 주택 사업, 사회 교화 사업, 부락 진흥, 사회사업 연락 연구 기관, 재해 구제로 구분하여 관련 시설을 소개하고 있다. 각 사회 시설에 대해서는 소재지와 설립 연월일, 연혁, 조직, 유지, 사업 등을 간략하게 기록하였으며, 사진을 첨부하고 있어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부산 및 경상남도 주요 지역의 사회사업 시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당시의 사진이 첨부되어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