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844 |
---|---|
한자 | 會員名簿 |
영어의미역 | List of Members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교육/교육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부산광역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차철욱 |
[정의]
1928년 부산상업회의소가 작성한 1928년 12월 말 현재 회원 명부.
[편찬/간행 경위]
부산상업회의소의 회원 자격은 1916년 일본인과 조선인이 통합된 회의소로 출범할 당시 영업세 10엔 이상인 자로 하였다. 부산부는 매년 영업세를 부과했는데, 이에 근거한 회원의 정리가 필요하였다. 『회원 명부(會員名簿)』는 1928년의 영업세 조정액을 근거로 새롭게 변경된 회원을 정리한 자료이다.
[구성/내용]
『회원 명부』에는 일본인 회원 989명, 조선인 회원 146명, 총 1,135명의 회원 현황이 정리되어 있다. 회원은 일본인과 조선인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일본인 회원이 조선인 회원보다 수적으로 압도적인 만큼, 그 영업 부문의 종류도 다음과 같이 다양하였다. 즉, 제1부는 총 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① 미곡, 비료 ② 가마니, 농기구 ③ 활우, 육류 ④ 소채, 당분, 식료품 ⑤ 기호품 ⑥ 양조품 ⑦ 제염, 제빙 ⑧ 해산물 등이 해당된다. 제2부는 ① 면사포, 피복류 ② 잡화, 화장품, 신발 ③ 종이, 문구, 오락품, ④ 인쇄, 사진업 등을 포함하였다. 제3부는 ① 조선, 선어구, 차량 ② 철공, 철물, 기계 ③ 건축 재료 ④ 도자기, 초자 ⑤ 잡화, 고물, 제상업 ⑥ 석탄, 신탄, 여러 기름 ⑦ 약종, 성냥, 도료 ⑧ 전기, 가스, 철도 등이다. 제4부는 ① 운송, 운송 취급업 ② 토목, 건축 청부업 ③ 금융, 보험 대리 ④ 잡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어서 조선인 부분은 ① 미곡, 활우 ② 해륙 물산, 문옥 ③ 면사포, 고무화 ④ 운송 취급업, 창고업 ⑤ 금전 대부, 전당포업 ⑥ 잡업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민족별, 영업 부문별 분류에 이어 각 부문 내에 영업 종목, 영업세액, 영업소, 전화, 경영자 및 주요 사업체로 구분하여 회원을 정리하였다.
[의의와 평가]
『회원 명부』는 각 업종별 회원의 영업세 규모를 통해, 1920년대 말 부산 상공업계의 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