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818 |
---|---|
한자 | 例規類集-釜山府釜山學校組合釜山府學校費 |
영어의미역 | Collection of Established Regulations: Busan-bu Busan School Cooperatives and Busan-bu School Expenditure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51-1]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하지영 |
[정의]
일제 강점기 부산부와 부산학교조합, 부산부 학교비의 예규를 수록하여 간행한 책자.
[편찬/간행 경위]
부산부에서 부산 지역의 통치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예규를 수록하여 연차적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상황]
부산부에서 간행한 예규류집으로, 현재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는 1925년 분, 1927년 분, 1930년 분, 1936년 분, 1942년 분이 소장되어 있다. 1925년 분과 1927년 분, 1930년 분의 서명은 『예규류집: 부산부 부산학교조합 부산부 학교비(例規類集: 釜山府 釜山學校組合釜山府學校費)』이나, 1930년 12월 29일 「부제(府制), 학교 조합령 및 학교비령」의 제정으로 부산학교조합 및 부산부 학교비에 속하는 업무와 재산이 부산부로 승계되면서 1931년부터는 『예규류집』으로 변경되었다.
[구성/내용]
『예규류집』의 내용은 193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 시기에는 부산부 예규류, 부산학교조합 예규류, 부산부 학교비 예규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1931년부터는 제도(制度) 예규류와 일반 경제 예규류, 제1부 특별경제 예규류와 제2부 특별경제 예규류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1931년 이후 부산학교조합과 부산부 학교비의 업무와 재산을 부산부로 승계시키면서 두 단체에 대한 재정은 부산부 특별경제, 즉 일본인 교육은 제1특별경제, 조선인 교육은 제2특별경제로 하였기 때문이다. 뒤 시기로 갈수록 예규의 건수가 증가하면서 『예규류집』의 분량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일제 강점기 부산부가 어떠한 예규를 근거로 해서 부산 지역에서의 행정을 수행해 갔는지 연도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일제 강점기 일본인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부산학교조합, 조선인의 교육을 위해 설립된 부산부 학교비와 관련된 규정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