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00637 |
---|---|
한자 | 朝鮮慶尙南道勸業十年計劃 |
영어의미역 | 10-Year Plan to Promote the Industries of Gyeongsangnam-do in Joseon [Gyeongnam-do] |
분야 |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 산51-6]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전성현 |
[정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일제 강점기 경상남도의 경제 개발 계획 자료집.
[편찬/간행 경위]
1910년 국권 피탈 후 경상남도에서는 ‘권업 10년 계획’을 발의하였다. 이른바 10년에 걸친 경상남도의 경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계획 수립에 앞서 경상남도의 제반 상황을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어, 경상남도 도청에서는 각 부윤과 군수에게 관련 자료를 제출하게 하여 『경상남도 도세 요람(慶尙南道道勢要覽)』을 먼저 간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초 자료로 하여 1912년 지방비 권업비[국고 보조금 포함] 및 임시 은사금 권업 수산비의 예산액을 기초로 구체적 실시 방법을 정하고 1912년 11월 『조선 경상남도 권업 10년 계획(朝鮮慶尙南道勸業十年計劃)』을 편찬하였다.
[서지적 상황]
일제 강점기 부산부는 경상남도의 하급 행정 기관이었으며, 1925년 4월 이후 경상남도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이에 『조선 경상남도 권업 10년 계획』 역시 부산부립도서관을 거쳐 현재의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
4·6배판[188×254㎜] 크기로, 총 145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내용]
경상남도 권업 10년 계획은 10년을 1기로 하여 사업의 진보에 따라 그 이후에도 필요할 경우 다시 시설을 예정하고 있다. 계획 중 자료는 1910년과 1911년 2개년의 평균액을 기준으로 했고, 자료가 없을 경우 최근의 조사 또는 1910년의 통계에 따라 작성했다. 내용은 총설, 방침, 시설[일반 시설 요목, 각종 요목]을 비롯하여 수도(手稻), 맥(麥), 대두(大豆), 면화(棉花), 축우(畜牛), 산림(山林), 죽림(竹林), 수산, 양잠, 기업(機業), 제지, 가마니 제조[繩叺製造], 감저(甘藷), 부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의 초기 산업 목표와 계획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