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경상남도 동래군 공토 성책』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517
한자 慶尙南道東萊郡公土成冊
영어음역 Gyeongsangnam-do Dongnae-gun Gongto Seongchaek
영어의미역 Recordof Public Land in Dongnae-gun in Gyeongsangnam-do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강정원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권책 1책[114장]
규격 30.2×24.2㎝
간행 시기/일시 1904년 10월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정의]

1904년 10월에 작성된 경상남도 동래군 공토의 양안.

[형태/서지]

『경상남도 동래군 공토 성책(慶尙南道東萊郡公土成冊)』은 1책 114장의 필사본으로, 책의 크기는 30.2×24.2㎝이다.

[구성/내용]

『경상남도 동래군 공토 성책』의 기재 방식은 둔명(屯名), 평명(坪名)과 자호에 이어 각 필지의 지번(地番)‚ 지목(地目)‚ 열·좌(㽝座)[개별 토지의 기초 구획 단위]‚ 두락(斗落), 일경(日耕)‚ 토지 등급, 결부(結負)‚ 작인명(作人名) 순이다. 면적 척수(尺數)는 기재하지 않았다. 대상 지역은 동래군읍내면(邑內面)북면(北面), 서상면(西上面), 서하면(西下面), 동상면(東上面) 등 11개 면이며‚ 면마다 각 공토의 총 결수가 기록되어 있다. 말미에는 경상남도 동래군 각 공토의 총목(總目)이 집계되어 있다. 동래군 공토의 총 결수는 200결 11부 2속으로, 전이 114일(日) 3시(時) 1해경(刻耕)‚ 답이 4‚403승락이다.

[의의와 평가]

『경상남도 동래군 공토 성책』은 전국의 목·둔토, 역토를 비롯한 각 공토를 중앙 기관에서 일괄적으로 조사하고 그 소유권을 확보함으로써, 공토를 최대한 확대하고 지주 경영을 강화하고자 했던 대한 제국의 공토 정책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