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래 관첩 내안』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00370
한자 東萊關牒內案
영어음역 Dongnae Gwancheop Naean
이칭/별칭 『관첩 내안』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부산광역시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하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도서
간행자 동래감리서
권책 2책
규격 29.4×17.9㎝
간행 시기/일시 1895년연표보기 - 간행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간행처 동래감리서 -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동 582-2 일대

[정의]

1895년 동래감리서와 중앙의 각 기관 사이에 왕래한 관문(關文)을 모아 엮은 책.

[저자]

동래감리서는 개항장의 외교·통상 업무를 관장할 목적으로 부산 지역에 설치한 관청이다. 초기에는 동래 부사가 감리를 겸임하면서 기존의 행정 체계 안에서 업무를 처리하다가 1890년(고종 27) 독립된 관서로 설치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동래 관첩 내안(東萊關牒內案)』은 1889~1895년에 동래감리서와 의정부, 호조, 친군영 등 중앙의 각 관청이 주고받은 문건을 모아 동래감리서에서 편찬한 것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각사 등록(各司謄錄)』13에도 영인, 수록되었다.

[형태/서지]

『동래 관첩 내안』의 표제는 ‘관첩 내안(關牒內案)’이다. 필사본 2책이며, 크기는 29.4×17.9㎝이다. 순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구성/내용]

1889년 1월 9일부터 1895년 6월 21일까지 동래감리서가 의정부와 내무부, 친군영, 호조, 광무국 등 중앙의 각 관청과 주고받은 관문이 날짜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주된 내용은 부산항을 출입하는 선박에 대한 세금 징수, 매달의 수세 장부 및 해당 년의 세금 총수(總數)를 기록한 책자를 엮어 중앙으로 올려 보낸다는 문서, 항구에 소요되는 경비의 지출, 항구세(港口稅)의 상납, 납입되지 않은 세은(稅銀)에 대한 독촉 등에 관한 것이다.

이밖에 부산항에 설립된 해상사(海商社)의 목적, 상선이 와서 정박할 때 무뢰배(無賴輩)나 관속의 무리들이 자행하는 토색(討索), 각 주인(主人) 명목의 잡세 혁파, 이운사(利運社)에 내지로 항해할 수 있는 특권 부여, 갑오농민전쟁 진압에 참가한 일본 해군의 생존자 위문 및 사망자 위휼(慰恤)에 관한 일들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개항기 부산항에서의 수세와 경비 사용 등 동래감리서의 재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산항을 출입하던 선박과 상회사, 객주의 활동 등 당시 상거래와 관련된 문서들이 많아 개항기 부산 지역 상업사 연구에 활용도가 높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