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영양 천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9352
한자 潁陽千氏
영어의미역 Yeongyang Chunsi|Yeongyang Chun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부산광역시
집필자 김연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천암(千巖)
입향시조 천찬석(千贊鉐)
본관 영양 - 경상북도 영양군
입향지 석대동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상리 마을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상리 마을

[정의]

천암을 시조로 하고, 천찬석을 입향조로 하는 부산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천씨(千氏)의 본관은 영양(潁陽) 단본이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영양 외에도 개성·강화·광주 등 97본이 전해지고 있으나 모두 영양 천씨의 세거지를 나타내는 데에 지나지 않는다.

[연원]

『천씨 세보』에 의하면 영양 천씨 시조는 명나라 초의 조신인 천암(千巖)이며, 그의 후손이 영양에 세거하였다고 한다. 중시조 천만리(千萬里)는 명나라 말기 무과에 급제, 명나라 조정의 무신으로 있다가 임진왜란 때 명장 이여송(李如松) 휘하의 영량사(領糧使) 겸 총독장(總督將)으로 그의 아들 천상(千祥)·천희(千禧)와 함께 우리나라에 건너와 평양·곽산 등지에서 대승을 거두고, 정유재란 때도 양호(楊鎬)·마귀(麻貴) 등과 함께 다시 나와 직산·울산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천만리는 명군이 철수할 때 그대로 머물며 귀화하여 화산군(花山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천암을 시조로, 천만리를 중시조로, 조상들이 세거했던 영양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입향 경위]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조선에 귀화한 명군의 후손을 잡아들이라는 명령 때문에 천만리의 4세손 천찬석(千贊鉐)은 17세기 후반 경기도 광주 부윤(廣州府尹)을 지내던 중 명나라가 망하자 모든 관직을 버리고 석대동[해운대구]으로 피란, 이주하였다.

[현황]

1934년 조선 총독부에 발행된 『朝鮮の姓』의 동래군조에는 영양 천씨석대동에 32호가 거주한다고 했으며, 1937년 문기주(文錡周)가 편찬한 『동래군지』의 성씨조에는 영양 천씨가 세거(世居) 성씨로 기록되어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영양 천씨는 2,478가구에 8,035명[남자 4,314명, 여자 3,721명]이 부산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유적]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석대동 상리 마을영양 천씨 정려각(旌閭閣)이 있다. 또한 영양 천씨 석대 문중은 2006년 2월에 보관 중인 효행 청원서와 행정 문서 110여 점, 호구 단자 120여 점, 교지류, 「포창완의문(襃彰完議文)」 등 고문서 272점을 부산박물관에 기증하였다. 중시조 천만리의 기공비로 자성대 공원 정상에 ‘총독장화산군영양천공지비(摠督將花山君潁陽千公之碑)’가 세워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