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600 |
---|---|
한자 | 釜山産業科學高等學校 |
영어의미역 | Busan Industrial Science High School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가락대로 1393[봉림동 1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전영섭 |
[정의]
부산광역시 강서구 봉림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예의 바르고 부지런한 산업 기술인 육성’이다. 교훈은 ‘창의·성실’이다.
[변천]
1970년 3월 26일에 가락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74년 3월 1일에 김해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으며, 1977년 3월 1일에는 김해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1월 1일에 부산광역시 교육청으로 편입되었고, 1992년 3월 1일에 부산서여자상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9년 6월 17일에 신발 특성화 공업 고등학교로 학칙을 변경하였으며, 2000년 3월 1일에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3월 1일에 제17대 이선숙 교장이 부임하였다. 2013년 2월 7일에 제41회 졸업식을 통해 123명이 졸업하여 총 9,13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교육 활동]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는 산업 현장 적응에 부합하는 교육 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학생과 함께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또한 실천하는 기본 생활 습관을 형성시키고, 쾌적하고 선진화된 교육 시설 및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13년 현재 두 가지의 특색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첫째, ‘부모님과 함께하는 신발 제작 체험으로 화목한 가정 만들기’를 전개하고 있다. 부모와 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다양한 신발 제작 체험 활동을 통해 가족 간의 사랑을 확인하고, 대화를 통해 가정의 소중함을 알게 함으로써 화목한 가정을 만들고자 한다.
둘째, ‘행복한 학교를 위한 인성 및 자존감 증진 프로그램 운영’을 시행하고 있다. 전교생이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정서 함양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여 존중과 배려의 행복한 학교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바른 인성과 자질을 갖춘 자존감 높은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기 위함이다. 2012년 4월 17일에 부산 기능 경기 대회에서 금메달과 은메달, 동메달, 우수상을 받았다. 같은 해 12월 20일에는 학교 평가 우수 학교로 선정되어 부산교육연구정보원장 표창을 받았으며, 생활 지도 으뜸 학교로 선정되어 부산광역시 교육감 인증패를 받았다. 그해 12월 31일에는 어울림 프로그램 우수 학교로 선정되어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이상목/작곡 김병수]
옛 가야 푸른 정기 서려 도는 낙동강 구비/ 새 천년 조국 빛낼 배움터 솟았네/ 저 바다 가슴 가슴 큰 희망 품어 안고/ 창의와 성실로 진리를 탐구하는/ 우리는 모두 하나 힘 모아 전진하세/ 영원무궁 길이 빛날 부산산업과학고.
2. 교목: 소나무이다. 소나무는 예로부터 선비의 굳은 지조를 상징하는 나무로 귀중히 여겨져 왔다.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꿋꿋이 자라는 소나무는 참다운 인내와 절개, 그리고 늠름한 기상과 높은 이상의 표상으로서, 우리 생활에 여러 모로 유용하게 쓰이고 있는 점을 본받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3. 교화: 철쭉이다. 철쭉은 미래에 대한 희망과 아울러 순수하고 정숙함을 상징하는 꽃이다. 남보다 먼저 인격을 갖추고 미래의 이상을 향해 나아가려는 부산산업과학고등학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4. 캐릭터: 신발을 형상화하였다. 신발의 도약을 의미하며 남학생 이미지를 나타내는 ‘슈비’와 신발의 아름다움을 의미하며 여학생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슈아’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총 18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에 376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교직원은 교장 1명, 교감 1명, 교사 44명, 그리고 행정 담당 등 일반직 18명으로 총 64명이 근무하고 있다. 학교 부지 면적은 총 1만 3057.65㎡로, 도서실, 강담 겸 체육관, 생활관, 급식실, 음악실, 과학실, 미술실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