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새야 새야 파랑새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540
영어의미역 Bird, Bird, Blue Bird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133번길 16[범일동 830-3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신설령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창작곡
양식 합창곡
작곡가 이상근
창작|발표 시기/일시 1946년연표보기 - 창작
창작|발표 시기/일시 1951년 11월 25일연표보기 - 초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8년 - 문교부 제정 중등 교재로 출판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8년 - 제2회 문교부 중등학교 교재용 작곡 모집에서 2등 입상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1년 11월 4일 - 효성여자대학교 제10회 정기 연주회에서 공연[효성여자대학교 합창단]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2년 12월 1일 - 어머니 음악회에서 공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3년 4월 - 이화여자대학교 글리클럽 순회 연주회에서 공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3년 6월 30일 - 부산관악대지도자회 창립 기념 및 제1회 부산 관악제에서 공연[대한어머니합창단]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78년 3월 6~7일 - 국립합창단 제9회 정기 연주회에서 공연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0년 9월 13일 - 부산여자대학교 콘서트 콰이어에서 공연
초연|시연장 국제 극장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부림동
공연장 효성여자대학교 - 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1155
공연장 대청장 연주 홀 - 부산광역시
공연장 부산 시민 회관 -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133번길 16[범일동 830-31]지도보기
공연장 국립 극장 -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59[장충동 2가 산14-67]

[정의]

부산에서 활동한 이상근이 전래 동요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편곡한 여성 합창곡.

[공연 상황]

1946년 합창곡 「새야 새야 파랑새야」를 창작하였으며, 1951년 11월 25일 제1회 이상근 작곡 발표회에서 마산여자고등학교 합창단이 초연하였다. 이어서 1961년 11월 4일 효성여자대학교[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제10회 정기 연주회에서 효성여자대학교 합창단이 공연하였다. 1972년 12월 1일 어머니 음악회, 1973년 4월 이화여자대학교 글리클럽 순회 연주회에서 공연되었다. 1974년 6월 30일 부산관악대지도자회 창립 기념 및 제1회 부산 관악제에서 대한어머니합창단이 공연하였으며, 1978년 3월 6~7일 국립합창단 제9회 정기 연주회와 1990년 9월 13일 부산여자대학교 콘서트 콰이어에서도 공연되었다.

[구성]

「새야 새야 파랑새야」는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밭에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의 가사를 네 번 반복한다. 곡의 빠르기는 느리게[안단테], 조성은 사장조이다.

[내용]

단 네 개의 음으로 만들어진 민요에서 리듬, 화음 등의 변화를 주어 여성 합창곡으로 편곡하였다.

[의의와 평가]

해방 직후 서양 음악 합창곡은 비교적 많았으나 한국 작곡가의 창작곡은 구하기가 쉽지 않았던 때 작곡가 이상근은 전래 동요를 여성 합창곡으로 만들어 부를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이 곡은 1948년에 문교부[현 교육부] 제정 중등 음악 교재에 실렸고, 같은 해 제2회 문교부 중등학교 교재용 작곡 모집에서 2등으로 당선하였다.

전래 동요를 독창적인 창의성으로 새롭고 아름다운 곡으로 만들어서 민요 편곡의 바람직한 방향을 보여 주었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우리 것’에 대한 이상근의 관심과 애정은 그의 작곡 초기부터 드러나고 있으며, 우리의 음악이 흔치 않았던 때에 서울이 아닌 부산의 작곡가가 우리 민요를 합창곡으로 재창작하여 학생들이 부를 수 있도록 한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국립합창단의 정기 연주회에서 연주되었다는 사실 또한 의미 있는 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