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전리 당곡 마을 경주 최씨 세거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467
한자 花田里堂谷-慶州崔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Gyeongju Choi Clan in Hwajeon-ri Danggok Village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20가구
세거지 화전리 당곡 마을 경주 최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에 있는 경주 최씨 세거지.

[명칭 유래]

당곡 마을의 옛 이름은 당골이었다. 당곡 마을에는 수호신에게 제를 올리는 당사(堂祠)와 당목(堂木)이 있었는데, 이에 당곡(堂谷) 또는 골메기집[당사를 이르는 명칭]이라고 하였다. 당골, 당미기, 당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형성 및 변천]

최치원(崔致遠)을 시조로 하며 최진립(崔震立)을 파조로 한다. 최진립의 손자 최국침(崔國琛)[3세]은 1655년경에 월성군 내남면 이조리[현 경주시 내남면 이조리]에서 세거하다가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로 이거하였다. 최국침의 아들 최응기(崔應基)는 통훈대부 군자감 정(軍資監正)을 지냈으며 손자 최경명(崔慶命)은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지냈다. 최경명은 슬하에 최종업, 최종헌(崔宗巘), 최종관 3형제를 두었다. 3형제 중 차남 최종헌[6세]과 그의 후손 최세중(崔世中)[9세]은 기장군 기장읍 대라리 사라 마을에서 다시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로 이거하였다.

[자연 환경]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은 북쪽으로는 월음산, 남쪽으로는 연화산이 있고, 마을 내에 달음산에서 발원하는 일광천(日光川)이 동으로 흘러간다. 하천 주변의 평지는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당곡 마을에는 경주 최씨 20가구 정도가 살고 있다.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에 있는 재실인 사라재(士羅齋)는 1990년 5월에 건립되었는데, 대지 359.7㎡에 목조 기와 팔작지붕 형태이다. 묘사일은 음력 10월 첫 일요일이며, 현재 41위가 모셔져 있다. 참여 종중 수는 170세대 정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