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화전리 화전 마을 순흥 안씨 세거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217463
한자 花田里花田-順興安氏世居地
영어의미역 Residential Place of Sunheung An Clan in Hwajeon-ri Hwajeon Village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화전 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안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거지
가구수 10여 가구
세거지 화전리 순흥 안씨 세거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 화전 마을

[정의]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면 화전리에 있는 순흥 안씨 세거지.

[개설]

순흥 안씨(順興安氏)는 고려에서 보승 별장을 지낸 안자미(安子美)를 시조로 하고 안종검(安從儉)을 중시조로 한다. 본관은 시조 이하 대대로 순흥에 세거하였기 때문에 순흥으로 하였다. 세계는 시조의 아들인 안영유(安永儒)[1파], 안영린(安永麟)[2파], 안영화(安永和)[3파]를 파조로 한다. 기장군 일광면 화전 문중은 7세 안종검(安從儉)을 파조로 하여 분파된 참의공파(參議公派)로, 기장 화전파라고도 한다.

[명칭 유래]

화전리 화전 마을 명칭은 주변 땅의 형태에서 유래하였다. 화전 마을이 있는 지역은 일광천 본류와 항새목[꼬지매기]에서 흘러내린 냇물이 삼각형의 퇴적 지형을 만드는데, 그 모양이 곶(串)[물가 쪽으로 돌출된 지형]처럼 생겼다고 하여 곶밭[串田]이라고 하였다. 이후 곶은 ‘꽃 화(花)’ 자를 차음하여 쓰고 밭은 ‘밭 전(田)’ 자를 사용하여 화전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화전리 화전 마을순흥 안씨가 입향한 시기는 20세기 초로, 23세손 안국빈(安國賓)이다. 이후 철마면 장전리, 일광면 청광 마을로 퍼져 나갔다.

[자연 환경]

화전 마을 남쪽으로 일광천이 흐르며, 북서쪽에 달음산과 월음산이 있다. 동쪽으로는 소나무가 우거진 거물산이 있다. 수리 시설이 갖추어지기 전까지는 일광천이 범람하여 이용이 어려운 땅이었으나 현재는 개간하여 농경지로 활용한다.

[현황]

화전리 화전 마을에서 순흥 안씨가 성세를 이루었을 때는 30여 가구가 살았으나 2013년 현재는 10여 가구만 살고 있다. 현재 32세손까지 대를 이루어 세거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