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217439 |
---|---|
한자 | 周禮洞南平文氏世居地 |
영어의미역 | Residential place of Nampyeong Mun clan in Jurye-dong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오인택 |
[정의]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에 있었던 남평 문씨 세거지.
[개설]
남평 문씨(南平文氏) 충선군 문익점(文益漸)이 거주하였던 곳이 강성[단성 혹은 산청]이어서 사후에 강성군(江城君)으로 봉하여졌다. 이후 그 후손들이 강성을 본관으로 하는 강성 문씨 충선군파, 혹은 남평 문씨 충선군파로 불리기도 하였다. 원래 남평 문씨 일족이었기 때문이다.
남평 문씨[강성 문씨]의 충선공파 파조인 문익점의 후손은 이후 5개의 분파로 나뉘었는데, 그중 의안공파에 속하였던 문평(文苹)은 조선 전기 강성에서 동래로 이주하여 남평 문씨[강성 문씨] 동래 문중 파조가 되었다. 이후 동래 문중은 120~180여 년 이상 번창하면서 대대로 거주하던 동래부의 각 지역에 따라 7개의 문중[성안파, 사상파, 초읍파, 북면파, 금사파, 거벌파, 반여파]으로 분화하였다. 이 가운데 사상파 동래 문중이 대대로 살던 주례동을 주례동 남평 문씨 세거지라 불렀다.
[명칭 유래]
주례동(周禮洞)의 지명은 농민들이 농번기에 농사일을 공동으로 하기 위하여 부락이나 마을 단위로 만든 조직인 두레를 한자로 옮기면서 생겼다고 한다. 또 두레가 발달된 이 지역 지명을 정할 때 주나라 주희(朱熹)가 지은 책인 『주례(周禮)』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문익점의 손자인 의안공파 문평이 조선 태종(太宗) 대인 1410년경 동래로 입향하였다. 16세 문응필(文應弼)이 초읍에 이거하고 그 아들인 17세 문진명(文進明)[1578~1641] 대를 지나 그 아들 문언수(文彦守)[18세]가 1600년대 초반 주례동으로 세거지를 옮겼다. 1623년 사상 향안에 문진명의 아들 문언수와 문언해(文彦海)가 실려 있고, 31명의 후손이 기재되어 있다.
[자연 환경]
주례동은 크게 보면 금정 산맥과 낙동강 사이에 위치한 평야 지대에 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백양산(白楊山)과 엄광산(嚴光山)을 등지고 형성된 지역이다. 마을은 두 산의 산기슭과 낙동강으로 연하는 평야 지대에 위치한다. 하천으로 백양산에서 발원하여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학장천이 있다.
[현황]
2013년 현재 주례동에서는 남평 문씨[강성 문씨] 33세손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동래 문중에 속한 7개 파 회원 가운데 사상 문중으로, 금정구 남산동에 있는 동성재에서 제사를 지낸다.